문장공유
공유하기

[사설]은행 대출비리 끝이 없다

입력 1996-11-24 01:42업데이트 2009-09-27 12:14
읽기모드 글자크기 설정 레이어 열기 뉴스듣기 프린트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은행장 구속은 은행의 고질적 대출 부정 사례의 하나다. 대출을 미끼로 한 은행간부의 수뢰는 한국의 성장사와 궤를 같이 하는 오랜 비리나 여전히 고쳐지지 않고 있다. 현 정부들어 15명의 행장이 대출관련 비리로 옷을 벗거나 구속되고 올 들어서만도 제일은행장에 이어 두번째다. 지점장급의 대출비리는 아예 일반에 잘 알려지지도 않은 채 사법처리되는 일이 흔하다. 은행원도 기업도 모두 정신이 나간 것 같다. 이래 갖고는 안된다. 무언가 특단의 예방조치가 필요하다. 가장 근본적인 것은 대출이 전혀 특혜가 될 수 없는 금융시장을 만드는 것이다. 선진국처럼 오히려 은행이 유망기업들을 쫓아다니며 자기 돈을 써달라고 부탁해야 한다면 대출비리는 있기 어렵다. 이 경우 신용없는 무자격자에게 대출해 손해가 나는 일은 할 수 없다. 이는 곧바로 은행수지에 나타나 은행장이 자리를 떠야 하기 때문이다. 우선 자금의 초과수요를 없애야 한다. 적정통화가 공급돼야 하는 것이다. 무작정 돈을 풀라는 게 아니다. 돈이 꼭 갈 곳에 가도록 하는 것이다. 정부가 여기저기 돈을 주라는 식의 규제를 해서는 안된다. 은행이 융자를 하는 경우 내부와 외부감사 제도로 적정대출 여부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다음 현재 시중은행장 선임 방법과 권한, 그품격(品格)에문제가있다. 아직도 정부 입김이 강한 행장선임방식으로 과연 자격을 갖춘 인물이 행장이 되는지 의문이다. 주인있는 후발 은행들에는 사고가 별로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또 행장의 권한이 너무 커 내부감사 체제가 유명무실한 것도 부실대출의 큰 원인이다. 이른바 대출커미션은 금리코스트를 높여 가뜩이나 고금리체제인 우리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큰 까닭의 하나다. 더이상 뻔하게 일어날 은행장의 대출비리를 방치한다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으로 선진국 금융기관과 경쟁할 경우 백전백패할 것은 자명하다. 과감한 금융개혁 없이는 다른 은행들이라고 대출비리에 무관함을 장담하기 어렵다.

화제의 비디오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