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18일 문재인 정부가 야권 인사들에게 입각 제안을 했다는 자신의 발언을 일부 정정했다. 김 전 지사는 국민의힘 유승민 전 의원, 정의당 심상정 전 대표에 대해 “입각 제안을 논의 단계에서 검토는 했으나 직접 제안을 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김 전 지사는 이날 페이스북에 “사실관계를 확인해보니 당시 문재인 정부는 다수의 야당 정치인들을 입각 제안 대상으로 검토했고, 그 중 대부분은 실제 직간접으로 제안을 하기도 했다”며 “다만 유승민 대표와 심상정 대표께는 입각 제안을 논의 단계에서 검토는 했으나 직접 제안을 하지는 않았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신 유승민계로 알려졌던 이종훈 의원에게 입각을 제안했고, 심상정 의원에게 제안하기 전 먼저 노회찬 의원에게 입각을 제안했다”며 “그 외에도 안철수 대표와 김성식 의원, 정두언 의원에게도 직간접으로 제안이 있었으나 실제 입각에는 이르지 못했다고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검토와 제안을 분명히 구분하지 않고 말씀드린 것에 대해 유승민 전 의원님과 심상정 전 의원님께는 정중히 사과드리고 양해를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김 전 지사는 해당 발언의 취지에 대해 “문재인 정부 당시 야당 정치인의 입각을 통해 우리 정치의 수준을 한단계 높이려는 고민과 노력이 있었으나 우리 정치구조와 문화의 한계로 인해 뜻을 이루지 못했던 경험을 거울삼아 앞으로는 그 때의 시행착오를 되풀이하지 말자는 뜻이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금의 두쪽나다시피 한 국민들간의 심각한 갈등을 치유하고 국민통합을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거 이후 정부 출범 때부터 인수위(또는 그에 준하는 조직) 단계에 함께 참여해 정책 협의를 통해 협약을 맺고, 그 결과에 따라 내각도 공동으로 구성하는 ‘한국형 연정’이 필요하다는 뜻에서 드린 말씀이었음을 헤아려 달라”고 말했다.
앞서 김 전 지사는 15일 한 언론 인터뷰에서 “2017년 탄핵 촛불혁명으로 집권한 문재인 전 대통령이 야당과 협치가 중요시 안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 정의당 노회찬·심상정 전 의원, 국민의당 김성식 전 의원에게까지 내각 참여를 제안했으나 성사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문재인 정부에서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을 지낸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도 17일 “문재인 정부 초반 2020년 총선 전까지는 여소야대였다. 법안 처리가 대단히 힘들었고 예산안 처리도 말할 것 없었다”며 “국회 동의가 굉장히, 절대적으로 필요했다. 야당과 같이 가는 게 필요했기 때문에 입각 제안을 한 것은 사실”이라고 김 전 지사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김 전 지사의 발언이 알려진 후 안철수 의원은 “김경수가 드루킹으로 감옥 가더니, 이젠 본인이 직접 드루킹 역할까지 하며 거짓을 퍼트리고 있다”며 장관직 제의 사실을 부인했다. 유승민 전 의원과 정의당도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김 전 지사에게 사과와 발언 정정을 요구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