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국당 대통령후보 결정문제와 관련한 김대통령의 언급은 지난달 연두회견에서 『분명한 의사를 밝히겠다』고 한 적극개입 의사표명과는 확연하게 다르다.
그러나 김대통령의 이날 언급을 완전한 「중립」 또는 「불개입」으로 받아들이기는 힘들다. 김대통령과 여당 대선주자 선정문제와의 관계가 어떻게 귀착되느냐는 신한국당의 당헌당규 개정내용과 여권내 상황이 확실하게 가시화되는 단계가 돼야 보다 분명해진다.
그러나 신한국당은 나름대로 김대통령이 밝힌 「투명하고 민주적이고 공정한 경선」 원칙에 맞는 당헌당규 개정작업에 본격 착수할 태세다. 姜三載(강삼재)사무총장은 25일 『즉시 당내에 당헌당규 개정위원회를 구성, 여러가지 안을 마련한 뒤 의원들과 대선주자들의 의견수렴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신한국당의 기본방향은 명실상부한 자유경선을 보장하는 쪽으로 잡힐 것 같다. 경선방식으로는 이미 제기된 「예비선거제」, 예를 들면 「시도대회 후 전당대회를 치르는」 방식 등이 검토대상이다. 어떤 식이든 당원들의 경선참여 확대를 위해 현재의 대의원 상한선(5천명이내)은 크게 늘어날 듯하다. 당일각에선 5만명설도 나오고 있다. 또 경선출마요건도 대폭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경선시기는 유동적이다. 정치상황과 당헌당규 개정에 필요한 기간 등을 감안해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로서는 한보청문회 일정이 끝난 뒤 「5월이후」가 되지 않겠느냐는 게 당내의 지배적 관측이다. 그러나 김대통령의 실질적 중립이 과연 이루어지느냐와 대선주자들간의 이해조정이 경선의 틀을 결정짓는 실질적 관건임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