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동아일보
전체메뉴
검색
최근검색어
최근 검색어
내역이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닫기
한국어
한국어
English
中文
日文
동아미디어그룹
동아미디어그룹
채널A
스포츠동아
헬스동아
지방선거 D-10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매거진
오피니언
사설
오늘과 내일
횡설수설
동아광장
시론
광화문에서
현장에서
뉴스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매거진
신동아
주간동아
여성동아
매거진동아
동아비즈니스리뷰
하버드비즈니스
리뷰코리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어린이 과학동아
수학동아
에듀동아
섹션
책의 향기
스타일매거진Q
골든걸
즐거운 인생
edu+
The Original
헬스동아
실시간 뉴스
이슈 포인트
연재 포인트
트렌드뉴스
뉴스레터 신청
기자
동아APP서비스
오늘의신문
신문보기(PDF)
구독신청
보도자료
보이스뉴스
RSS
동아방송 DBS
채널A
스포츠동아
비즈N
MLB파크
보스
VODA
IT동아
게임동아
연재
이상곤의 실록한의학
공유하기
공유하기
닫기
이상곤의 실록한의학
기사
122
개
최신기사
날짜별
지면기사만 보기
지면기사만 보기
눈병을 심하게 앓았던 세종의 치료법[이상곤의 실록한의학]〈122〉
뜨거운 온천도 있지만 차가운 냉천도 있다. 조선시대에는 몸 안에 화(火)가 쌓여 심해진 안질(眼疾·눈병)을 치료하기 위해 냉천을 찾았다. 물의 냉기로 화를 진정시키려는 시도였다. 추사 김정희 선생은 “도저히 붓대를 잡고 글씨를 쓸 수가 없다”고 할 정도로 안질이 심했다. 추사는 자신의…
2022-05-20 03:00
감기 후유증을 완화시키는 방법[이상곤의 실록한의학]〈121〉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인간이 생명을 두고 벌이는 전쟁이다. 전쟁 양상이 격렬할수록, 기간이 길수록 후유증은 커진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보다 전염성이 크고 치료 기간도 길다. 따라서 코로나 후유증(롱코비드)이 독감보다 극심한 건 어떻게 보면 당연하다. 코로나…
2022-04-22 03:00
목이 따끔거리고 아플 때 왕가의 처방[이상곤의 실록한의학]〈120〉
요즘 광란의 폭증세를 보이는 코로나19의 대표적 증상은 목이 칼칼하거나 아픈 인후통(咽喉痛)이다. 한의학에선 목에 생긴 염증을 감정 기복과 깊은 관계가 있다고 본다. 열(火) 받는 일이 생기면 목에 염증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진다는 얘기다. 이는 조선시대 왕가의 기록에서도 확인할 수 있…
2022-03-25 03:00
마음을 다스리면 병이 나을까?[이상곤의 실록한의학]〈119〉
‘마음을 다스리면 병이 낫는다’라는 이야기는 실록의 보편적 질병관이다. 조선시대를 지배한 유학적 의료관(치료관)의 핵심은 마음을 닦는 ‘수양론’이었다. 질병의 원인을 육신보다 마음에서 찾았다. 욕망과 기질을 제어해 도덕적 삶을 살면 인간 본연의 성품이 드러나 모든 질병에서 해방된다는 …
2022-02-25 03:00
스피드 광 태종의 손저림[이상곤의 실록한의학]〈118〉
태종은 조선시대 스피드 광이었다. 태종 재위 2년 9월 왕이 친히 강무(수렵대회)에 나선다고 하자 신하들은 극구 만류한다. 정몽주를 죽인 무신 조영무는 펄쩍 뛰며 “아랫사람들이 전하의 사냥을 반대하는 것은 말을 마음대로 달리다 탈이 날까 두렵기 때문”이라고 읍소한다. 비슷한 시기 태조…
2022-01-28 03:00
전염병을 감기로 오진하여 죽은 왕자?[이상곤의 실록한의학]〈117〉
조선의 3대 임금 태종의 4남 성녕대군은 오진으로 죽은 최초의 왕자일지 모른다. 적어도 현재까지 남아있는 기록으로는 그렇다. 감염병인 천연두를 감기로 오인해 치료를 진행하다가 죽은 의료 사고였다. 냉혈한으로 알려진 태종도 자식의 죽음에 참척의 슬픔을 그대로 내보였다고 한다. 조선 초…
2021-12-31 03:00
어의 이수귀의 돌발성 난청 치료법[이상곤의 실록한의학]〈116〉
의사가 환자를 치료한 임상 경험은 의학 발전의 꽃이라고 할 수 있지만, 불행히도 한의학적 임상 경험을 담은 조선시대 기록물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드물게 남은 임상 경험 서적은 무척 귀한 책이다. 그중에서도 영조 때 어의 이수귀가 남긴 ‘역시만필’이라는 책은 최고봉으로 꼽힌다. 그는…
2021-12-03 03:00
임금의 다리 저림을 해결해 준 모과[이상곤의 실록한의학]<115>
어릴 적 여름날 시골 연못은 가장 훌륭한 놀이터이자 수영장이었다. 친구들과 노는 재미에 부모님의 ‘물 조심’ 엄명은 뒷전이었다. 하지만 여름 수영 놀이의 가장 큰 적은 종아리 쥐였다. 입술이 파래질 정도의 산골 찬물에서 몇 시간씩 수영을 하다 보면 과로한 근육에 경련이 일어나는 경우가…
2021-11-05 03:00
숙종과 영조, 펠프스의 통증 치료법[이상곤의 실록한의학]<114>
“테니스공을 베고 잤나?” 2016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당시 ‘수영 황제’ 마이클 펠프스의 몸에 새겨진 동그란 멍 자국에 미국 언론이 보인 반응이었다. 멍 자국은 부항요법의 결과물로 밝혀졌다. 펠프스가 굳은 등 근육을 풀고자 전통 한방 시술을 받은 것이다. 조선 19대 임금…
2021-10-08 03:00
‘역병 3관왕’의 면역력 키우기[이상곤의 실록한의학]<113>
정조의 장자였던 문효세자가 일찍 세상을 뜨자 순조는 11세에 왕세자에 책봉돼 그해 왕위에 오른다. 영조의 계비였던 정순왕후가 수렴청정하는 사이 어린 그는 수두, 홍역, 천연두 등 전염병을 세 차례나 겪으며 생사를 오간다. 모두 바이러스성 질환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당시 순조의 면역기능에…
2021-09-10 03:00
명종이 여름마다 어지러워했던 이유[이상곤의 실록한의학]<112>
12세에 왕위에 오른 조선 13대 왕 명종은 여름만 되면 어지럼증을 호소했다. 재위 16년에는 경연을 중단하기까지 했다. “나는 약질인 데다 감기에 잘 걸리고 간간이 설사까지 해 항상 기운이 나른하다. 간혹 열이 치받치면 현기증이 일어난다. 학문이 중하기는 하지만 건강이 좋지 않으니 …
2021-08-13 03:00
한여름 꿀잠 돕고 갈증 없애는 매실[이상곤의 실록한의학]<111>
예전엔 무서운 병이었지만 지금은 사라진 것들이 적지 않다. 종기는 조선시대 수많은 임금의 목숨을 위협했지만 요즘은 환자를 찾기 힘들다. 주렁주렁 누런 콧물을 달고 다녔던 꼬마 축농증 환자도 사라졌다. 가슴팍에 손수건을 붙인 초등학교 입학식은 흑백사진에서나 볼 수 있다. 더위 먹어 생긴…
2021-07-16 03:00
영조가 선택한 난임 극복 비법은?[이상곤의 실록한의학]
조선시대 왕과 왕비에게 부여된 가장 큰 책무는 후계자를 낳는 것이었다. 영조가 왕이 되기 전 연잉군 시절에 낳은 효장세자(1719∼1728)는 일찍 세상을 등졌다. 이후 영조는 모든 국가적 의료 시스템과 음식보양법, 생활방법 등 의료 지식을 총동원해 왕자 생산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
2021-06-18 03:00
인생 후반 아름다움을 찾아줄 모란[이상곤의 실록한의학]<109>
요즘 꽃놀이라면 벚꽃이나 장미가 최고인줄 알지만, 동양에서 꽃의 왕은 모란(목단)이고 꽃의 재상은 함박꽃(작약)이다. 모란은 꽃의 왕답게 계절의 여왕인 5월에 핀다. 재위 17년, 태종은 격무로 바쁜 와중에도 형님인 상왕 정종을 모시면서 “지금 모란꽃도 활짝 피었으니 좋은 때를 헛되게…
2021-05-21 03:00
불안과 스트레스가 만든 인조의 귀 통증[이상곤의 실록한의학]〈108〉
귀는 차가운 기관이다. 뜨거운 물건을 만지면 귀를 잡는 것도 귀의 본질이 차기 때문이다. 열을 받으면 귀는 빨개진다. 속마음이 잘 드러나는 곳이다. 속마음에 화가 있거나 분노가 있으면 귀는 소리를 내거나 통증을 유발한다. 한의학에선 귀의 통증을 이통(耳痛) 혹은 이동(耳疼)이라고도 한…
2021-04-23 03:00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최근 업데이트 연재
설명
해당 연재를 제외하고 전체 연재 목록 중
기사가 최신 업데이트된 순으로 보여드립니다.
닫기
청계천 옆 사진관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美에 선물한 것은? [청계천 옆 사진관]
최신기사 2022.05.22 19:35
기사
1,220
개
일사정리
주말 쇼핑·임을 위한 행진곡…신선했던 尹 대통령 취임 첫 주
최신기사 2022.05.22 13:26
기사
41
개
강은지 기자의 반짝반짝 우리별
사라지는 백사장, 시작되는 해상도시 구상…미래 우리 바다 모습은? [강은지 기자의 반짝반짝 우리별]
최신기사 2022.05.22 10:29
기사
15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