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포인트

연재

이상곤의 실록한의학

이상곤의 실록한의학

기사 147

구독 10

날짜선택
  • [이상곤의 실록한의학]〈72〉정약용이 사랑한 도라지술

    [이상곤의 실록한의학]〈72〉정약용이 사랑한 도라지술

    “인생에서 제일 기쁠 때는 도소주(屠소酒) 마시는 그때라네.” 다산 정약용의 시집에 나온 한 구절이다. 다산은 유배지 전남 강진 보은 산방에 찾아온 지인의 술을 받아들고 기뻐하며 이처럼 노래했다고 한다. 도소주는 길경(桔梗)이라는 약초가 주재료고 방풍(防風), 육계(肉桂) 등의 약…

    • 2019-03-18
    • 좋아요
    • 코멘트
  • [이상곤의 실록한의학]〈71〉‘화병’ 현종에게 개의 담석을 권하다

    [이상곤의 실록한의학]〈71〉‘화병’ 현종에게 개의 담석을 권하다

    우황(牛黃)과 구보(狗寶), 마묵(馬墨)은 한약 중에서 가장 구하기 힘들고 값비싼 약물로 꼽힌다. 우황은 소의 담석이고 구보는 개의 담석이며 마묵은 말의 콩팥이다. 말은 쓸개가 없어 신장이 그 역할을 대신한다. 우황과 구보는 예부터 기상천외의 묘약 취급을 받았다. 현종은 예송논쟁과 …

    • 2019-03-04
    • 좋아요
    • 코멘트
  • [이상곤 실록한의학]〈70〉정월 대보름에 귀를 밝혀라

    [이상곤 실록한의학]〈70〉정월 대보름에 귀를 밝혀라

    금주령으로 서슬이 퍼렜던 영조 시대에도 군신 간 음주가무의 기록은 존재한다. 영조 44년 임금의 생일상이 차려지자 영의정 김치인과 이조판서 조명정이 많이 취해 술 실력을 자랑한다. 평소 술을 싫어한 ‘금주 대왕’ 영조는 이상하게도 이날만큼은 신하들에게 술을 권했다. 왜 그랬을까. 의문…

    • 2019-02-18
    • 좋아요
    • 코멘트
  • [이상곤 실록한의학]〈69〉발바닥 마사지로 장수 누린 이황

    [이상곤 실록한의학]〈69〉발바닥 마사지로 장수 누린 이황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는 당시 영의정이자 소론의 거두였던 이광좌에게 “화(火)가 오를 때에는 머리가 아프고 눈에 무엇이 가린 것 같다”고 자신의 화증(火症)을 설명하면서 그 치료법을 물었다. 이광좌는 이렇게 답한다. “신이 봉조하 최규서(崔奎瑞, 경종 때 영의정을 지냄)의 말을 들…

    • 2019-01-28
    • 좋아요
    • 코멘트
  • [이상곤 실록한의학]〈68〉온천욕 세종, 경호 인력만 1만 명

    [이상곤 실록한의학]〈68〉온천욕 세종, 경호 인력만 1만 명

    중국을 61년간(1661∼1722년) 다스린 청나라 황제 강희제는 온천욕에 일가견이 있었다. 특히 병을 치료하는 ‘좌탕(坐湯)’에 대해 그는 “좌탕요법을 잘 아는 민족은 만주와 조선뿐”이라고 했다. 실제 조선왕조실록에는 ‘온천욕이 조선 조정의 오래된 전통’이라는 기록이 등장한다. 일본…

    • 2019-01-14
    • 좋아요
    • 코멘트
  • [이상곤 실록한의학]〈67〉왕비들에게 ‘러닝머신’이 있었다면…

    [이상곤 실록한의학]〈67〉왕비들에게 ‘러닝머신’이 있었다면…

    조선 17대 왕 효종(봉림대군)은 형인 소현세자의 죽음 이후 형의 아들이자 왕위 계승자인 원손 경선군 이석철을 제치고 임금 자리에 올랐다. 종법을 어긴 변칙 왕위 계승은 격렬한 논쟁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그래서일까. 효종의 왕비 인선왕후 장씨는 남편이 왕이 되고 난 후부터 일종의 스…

    • 2018-12-31
    • 좋아요
    • 코멘트
  • [이상곤의 실록한의학]〈66〉소현세자 “가래약 죽력이 날 살렸다”

    [이상곤의 실록한의학]〈66〉소현세자 “가래약 죽력이 날 살렸다”

    조선 14대 왕 선조는 일생 동안 기침으로 고생한 임금 중 한 명이다. 감기에 걸릴 때마다 기침이 심했는데, 가래가 목에 걸려 호흡이 곤란하고 가슴이 답답해지는 증상을 호소했다. 가래를 없애는 거담제 계통 약물을 복용했지만 증세는 말끔하게 낫지 않았다. 결국 선택한 약은 ‘죽력(竹瀝)…

    • 2018-12-17
    • 좋아요
    • 코멘트
  • [이상곤의 실록한의학]〈65〉고질적인 변비에는 ‘대황’

    [이상곤의 실록한의학]〈65〉고질적인 변비에는 ‘대황’

    한의학은 항문을 점잖게 ‘백문(魄門)’이라고 표현한다. ‘마음의 하수구’ 정도로 풀이된다. 쾌변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한 말이다. 조선 제20대 왕 경종이 어머니 장희빈을 잃고 생긴 트라우마를 치료할 때 대변이 잘 나오게 하는 ‘대황’을 처방했다는 기록이 있다. 왕의 건강을 책임지는 …

    • 2018-12-03
    • 좋아요
    • 코멘트
  • [이상곤의 실록한의학]〈64〉‘왕의 보양식’ 양고기

    [이상곤의 실록한의학]〈64〉‘왕의 보양식’ 양고기

    조선의 4대 왕인 세종은 54세에 승하했다. 69세에 죽은 맏형 양녕대군이나 92세에 임종한 둘째형 효령대군보다 훨씬 단명했다. 실록 등 각종 기록이 전하는 세종의 실제 모습은 1만 원권 화폐에 나오는 어진(御眞)과는 거리가 멀다. 실록은 세종에 대해 ‘비중(肥重)’ ‘건습(蹇濕)’이…

    • 2018-11-19
    • 좋아요
    • 코멘트
  • [이상곤의 실록한의학]〈63〉양기를 북돋우는 사슴뿔

    [이상곤의 실록한의학]〈63〉양기를 북돋우는 사슴뿔

    호사가들은 발기부전 치료제의 탄생 이후 한의학의 위상이 예전 같지 않다고 말한다. 그 이면에는 그것의 효과가 녹용의 보양효과를 대체할 수 있다는 믿음이 똬리를 틀고 있다. 조선 왕위는 후기로 갈수록 적자 승계가 드물어지면서 왕자들의 경쟁이 줄었다. 대를 잇기에 급급했다. 헌종과 철종은…

    • 2018-11-05
    • 좋아요
    • 코멘트
  • [이상곤의 실록한의학]〈62〉마음이 지극히 아프면 귀가 운다

    [이상곤의 실록한의학]〈62〉마음이 지극히 아프면 귀가 운다

    병자호란은 인조에게 삼전도의 치욕으로 끝나지 않았다. 전란이 끝난 이후에는 청에 포로로 잡혀갔다 조선으로 도망 온 사람들을 잡아 다시 돌려보내는 ‘쇄송(刷送)’ 문제로 깊은 시름에 빠졌다. 당시 쇄송의 참상을 실록은 이렇게 전한다. “이역 땅에 잡혀가 돌아온 백성을 도적들처럼 결박하…

    • 2018-10-22
    • 좋아요
    • 코멘트
  • [이상곤의 실록한의학]〈61〉감기를 낫게 하는 금은화

    [이상곤의 실록한의학]〈61〉감기를 낫게 하는 금은화

    조선 19대 숙종(1661∼1720) 재위 44년(1718년) 고령의 임금은 자주 감기에 걸렸다. 그해 가을(9월 27일), 맑은 콧물이 흐르고 기침이 나면서 열이 심해지자 어의는 한약 대신 차처럼 마시는 다음(茶飮)을 권했다. 어의가 권한 감기의 비방은 바로 금은화였다. 인조도 재위…

    • 2018-10-08
    • 좋아요
    • 코멘트
  • [이상곤의 실록한의학]〈60〉왕후의 코에서는 ‘분노’가 쏟아졌다

    [이상곤의 실록한의학]〈60〉왕후의 코에서는 ‘분노’가 쏟아졌다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는 인조 16년(1648년) 15세의 나이에 왕후로 책봉됐다. 인조와 나이 차는 무려 29세, 하지만 인조는 후궁 소용 조씨만을 총애했다. 그 때문일까. 인조와 22세 때 별거한 후 독수공방하며 한 많은 삶을 마쳤다. 인조 23년 실록에는 “후궁 조소용의 이간질 …

    • 2018-09-17
    • 좋아요
    • 코멘트
  • [이상곤의 실록한의학]〈59〉삼경이 넘어서도 잠들지 못한 숙종

    [이상곤의 실록한의학]〈59〉삼경이 넘어서도 잠들지 못한 숙종

    ‘침수불안(寢睡不安)’ 승정원일기와 실록은 임금이 잠 못 이룰 때 증상을 이렇게 표현했다. 승정원일기에만 침수라는 단어가 2만7210회 나온다. 조선 임금들의 수면장애가 극심했다는 얘기다. 한방에선 머리가 뜨거우면 불면증에 잘 걸린다고 본다. 열대야가 계속되면 쉽게 잠을 못 자는 이…

    • 2018-09-03
    • 좋아요
    • 코멘트
  • [이상곤의 실록한의학]〈58〉“수박 가져와” 안 따르자 부관참시

    [이상곤의 실록한의학]〈58〉“수박 가져와” 안 따르자 부관참시

    에어컨이나 선풍기도 없고, 얼음이 귀했던 조선시대, 조상들은 고작해야 바람이 부는 나무그늘 아래 멍석을 펴놓고 누워 쉬는 게 피서의 전부였다. 부잣집 양반들은 물에 넣어 시원하게 만든 수박을 먹으며 더위를 달랬다. 서역에서 들어왔다 해 서과(西瓜)로 불렸던 수박은 임금이 성균관 유생들…

    • 2018-08-20
    • 좋아요
    •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