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의 新노조문화…SNS로 이슈 제기, 게릴라식 트럭 시위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10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익명 앱으로 공론화→모금→시위
민노총의 지원 제안에 “NO”
기존 노조 투쟁방식 벗어나

최근 MZ세대 직원들이 기존 노조에 기대지 않고 특정 이슈의 사회적 공론화와 단발성 시위로 자신들의 요구 사항을 관철시키고 있다.
 이달 7일 스타벅스코리아 직원들이 벌인 트럭 시위에서 근무 여건을 개선해 달라는 메시지를 붙인 트럭 옆면에 MZ세대 직원들의 
단체행동을 담은 그래픽을 합성한 모습.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최근 MZ세대 직원들이 기존 노조에 기대지 않고 특정 이슈의 사회적 공론화와 단발성 시위로 자신들의 요구 사항을 관철시키고 있다. 이달 7일 스타벅스코리아 직원들이 벌인 트럭 시위에서 근무 여건을 개선해 달라는 메시지를 붙인 트럭 옆면에 MZ세대 직원들의 단체행동을 담은 그래픽을 합성한 모습.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스타벅스코리아 직원들은 최근 과도한 판촉행사로 업무 부담이 과중해졌다며 ‘무(無)노조 트럭 시위’를 예고한 뒤 민노총으로부터 ‘시위를 돕겠다’며 노조 결성 권유를 받았다. 하지만 이들은 “당신들(민노총)의 이익 추구를 위해 이용하지 말라”고 거부했다.

스타벅스 창립 22년 만에 처음인 직원들의 단체행동은 시작부터 끝까지 기존 노조와 철저하게 다른 방식으로 진행됐다.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인 블라인드에서 업무 고충을 내부에서 공론화한 뒤 간편송금 애플리케이션(앱)인 토스로 3시간 만에 시위자금 330만 원을 모금했다. 이후 법률 자문까지 거친 뒤 이벤트 대행사를 통해 구한 트럭 전광판에 근무 여건 개선 요구를 담은 메시지를 띄웠다. 이들은 서울 시내를 오가는 이 트럭을 통해 온라인에서 파급력을 높였다.

이 같은 시위는 이틀 만에 종료됐지만 17일 스타벅스 측으로부터 “연말까지 1600여 명을 새로 뽑고 임금 체계를 개선하겠다”는 발표를 끌어냈다. 이는 ‘무(無)조직’ ‘탈(脫)이념’ ‘비(非)실명’으로 요약되는 최근 MZ세대(밀레니얼+Z세대)의 신(新)노조 문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투쟁과 파업 일변도의 기존 노조와 다르게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이다. 조준모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는 “절차적 공정성을 중시하는 디지털 세대는 온라인으로 수평 소통하고 개인의 주도권과 다양성을 중시하며 기존과 다른 노사 문화를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MZ세대 노조는 ‘無조직-脫이념-非실명’
“실적 좋은데 왜 성과급 적나” 등 눈앞의 불공정 해소에 집중
“기존 노조도 새 노조도 의미없어”…이슈별 모였다가 곧바로 흩어져
기존 노조 파업-투쟁에 거부감…“양대 노총 근본적 변화 못피할것”



올해 7월 초 이마트에서 상반기(1∼6월) 성과급 지급을 앞두고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인 블라인드가 한바탕 난리가 났다. 한 직원이 “성과급을 지난해 수준으로만 준다고 들었다”며 “상반기 실적이 좋았는데 왜 특정 조직만 성과급을 더 주는지 산출 기준을 명명백백히 밝혀라”는 글을 올렸다. 이후 여기에 동조하는 글들이 연이어 게시되며 논란이 확산됐다.

결국 회사 측은 직원들의 요구를 받아들였다. 이마트는 전 직원에게 상반기 성과급을 전년보다 30% 늘려 지급하고 특별격려금(기본급의 50%)까지 얹어 주기로 했다. 이마트에는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조(민노총 산하), 민주노동조합, 전국이마트노동조합(이상 한국노총 산하) 등 노조가 3개나 있지만 ‘무(無)조직의 항의’로 회사의 가장 빠른 반응을 이끌어낸 것이다. 이마트의 한 20대 직원은 “또래의 젊은 직원들은 기존 노조가 우리 이익을 대변하지 못하고, 노조를 새로 만들어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자신에 대한 불공정 이슈에 이합집산
주요 기업에서 MZ세대 직원들의 비중이 커지면서 노조 문화도 양대 노총 산하의 기존 노조가 ‘투쟁’을 벌였던 것과는 판이한 모습으로 전개되고 있다.

MZ세대 단체행동의 가장 큰 특징은 이슈 중심의 이합집산이다. MZ세대는 사회의 불공정과 결과적 공정에 관심이 큰 베이비붐 세대와 달리 개인의 불공정과 절차적 정당성에 민감하다. 또 시위를 하면 해당 이슈에만 집중하지 ‘최저임금 인상’이나 ‘한미연합훈련 반대’ 등 다른 이슈까지 확산해서 거론하는 걸 원하지 않는다.

기존 노조 문화에 대한 거부감이 강한 경우도 적지 않다. 한국경영자총협회의 MZ세대 대상 설문에 따르면 노사관계에서 가장 많이 떠오르는 단어로 응답자들은 파업(40.2%)과 투쟁(17.3%)을 꼽았다. 김동원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는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진 MZ세대는 노동운동으로 사회를 바꿔야 한다는 생각 자체가 옅고 기존 노조는 투쟁 일변도란 인식을 갖고 있다”며 “자신이 경험하는 불공정에 집중해 집단행동하고 문제가 해결되면 원래대로 돌아가는 패턴을 보인다”고 말했다.

○ 기존 노조 거부감에 플랫폼 기술 발달
블라인드 같은 다양한 익명 커뮤니티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손쉽게 이슈를 공론화하고 간편송금 플랫폼 등으로 손쉽게 모금까지 가능해진 여건은 이러한 신(新)노조 문화를 가속시키고 있다.

올해 6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MZ세대 직원들은 익명으로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만들어 콜센터 직원 직접고용에 대해 공정성 이슈를 제기하고 자체 모금으로 트럭 시위와 1인 시위를 벌였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SNS에 능한 MZ세대는 파업 같은 전통적 집단행동보다는 사회 이슈화를 통해 사측에 압력을 행사하는 새로운 형태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MZ세대의 입김이 커질수록 개인화와 디지털에 기반한 새로운 단체행동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4월 현대자동차나 LG전자가 MZ세대 직원들을 중심으로 사무연구직 중심의 노조를 따로 만든 것도 기존 노조에 대한 거부감이 가장 큰 요인이었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노조에 가입해야만 이익을 대변해 준다는 기존 노조 문화에도 근본적 변화가 불가피하다”며 “젊은 세대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노조도 변화를 따라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하경 기자 whatsup@donga.com
사지원 기자 4g1@donga.com
이지윤 기자 leemail@donga.com


#mz세대 노조#신노조문화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