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시대의 개막은 민주주의와 인권, 동맹을 중시하는 자유 국가들의 종주국으로서 전통적 슈퍼파워의 귀환을 의미한다. 트럼프 시대의 일방적 독선과 규범 무시, 동맹 경시와는 사뭇 다를 것이다. 하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가치와 규범을 앞세워 보다 정교한 형태로 미국의 국익을 지키면서 세계를 이끌어갈 것이다. 글로벌 리더로서 미국의 복귀는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시아에도 거부할 수 없는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당장 한국에는 대북정책 재검토라는 과제를 던졌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지명자는 인사청문회에서 북핵 문제에 대해 “나아지지 않고 더 나빠졌다”며 정책 전환 방침을 분명히 했다. 압박 강화 조치도 강구하겠다고 했다.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 지명자는 북한 핵능력에 상응하는 군사적 대응태세를 강화하겠다고 했다. 톱다운식 접근법의 폐기를 넘어 더 엄격한 비핵화 요구, 더 강한 제재·압박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우리 정부에는 막연한 낙관이 팽배하다. 문재인 대통령은 신년 기자회견에서 “바이든 새 행정부의 가치 기조나 동맹 중시 등 우리 정부와 코드가 맞는 점들이 있다”고 했다. 실패로 끝난 트럼프 시절의 싱가포르 합의를 계승하도록 미국을 설득하겠다고 했고, 한미가 결정할 연합훈련도 북한과 협의하겠다고까지 했다. 이러니 새 행정부의 기류를 제대로 읽고나 있는지 모르겠다는 얘기가 나올 수밖에 없다.
바이든 시대의 미국은 한국 민주화와 남북 화해를 한껏 응원하던 과거의 미국이 아니다. 가뜩이나 제 코가 석 자인 미국이다. 삼엄한 경계 속에 치러진 취임식의 낯선 풍경은 새 행정부 앞에 놓인 만만찮은 국내적 난제를 보여준다. 삭막한 국내 정치는 대외 정책에서 운신의 폭까지 크게 좁힐 수 있다. 바이든 행정부의 출범을 겸손하고 친절한 동맹국의 귀환이라고 착각해선 안 되는 이유들이다.
김원웅 광복회장, 임정 기념식서 독립유공자 후손에 멱살 잡혀
김종인 “윤석열과 안철수는 합쳐질 수 없다…安, 건방지게 야권승리라니”
“검사 지지는 수사 독립성 지킨 ‘총장 윤석열’ 향한 것일 뿐”
‘노마스크 1만명’ 北노동당 대회, 소름 돋는 반전[주성하의 北카페]
“감히 조국을…” 극성 친문, ‘초선 5적’ 낙인 문자폭탄
“조선이 중국 속국? 황당한 얘기” 중화주의 향한 저우언라이 일침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