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은 삼성그룹의 경영쇄신안에 대해 ‘삼성의 진정한 변화’를 한목소리로 요구하면서도 다소 엇갈린 평가를 내놓았다.
한나라당 조윤선 대변인은 “삼성이 투명경영과 윤리경영을 통해 국민적 신뢰를 회복해야만 한다”며 “세계 초일류기업의 위상에 걸맞게 더 큰 변화와 혁신으로 국민과 국가경제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민주당 차영 대변인은 “늦었지만 삼성의 경영쇄신 의지를 환영한다”면서도 “(쇄신안이) 국민의 지탄을 모면하기 위한 임시방편이 돼서는 안 되며 투명 윤리경영을 실천하는 실질적인 경영쇄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유선진당 김창수 대변인은 논평에서 “삼성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제왕적 지배구조와 재벌 2, 3세의 승계 방식을 탈피하고 글로벌 스탠더드에 적합한 근본적인 전환이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민주노동당은 논평을 통해 “(쇄신안은) 수조 원의 비자금 조성과 로비 의혹에 대해서는 단 한마디의 고백과 반성도 없이 소나기만 피하자는 모습”이라면서 “오히려 암암리에 황제 경영권 세습을 지속하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고 비판했다.
창조한국당도 “비자금의 용처와 명단이 공개되지 않은 채 이건희 회장을 비롯한 최고책임자들의 사퇴로 마무리 짓는 모습은 진정한 경영쇄신안이라고 볼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기획재정부 지식경제부 등 경제 부처들은 “대기업 총수가 책임지는 모습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이윤호 지경부 장관은 “민간기업의 일이기 때문에 시시비비를 얘기할 사항은 아니다”면서도 “(삼성그룹이) 굉장히 고심한 흔적이 엿보이며 앞으로 더 발전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미뤄왔던 투자를 실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더 좋겠다”고 밝혔다.
재정부 고위 관계자도 “(삼성의) 경영 불확실성이 제거된 만큼 신규 사업에 본격적으로 투자해 경제 살리기를 이끌었으면 한다”고 기대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삼성이 순환출자 해소 의지를 밝힌 데 의미를 부여하는 분위기다. 공정위 관계자는 “좀 더 앞당겨 시행하면 좋겠다는 바람은 있지만 강요할 수는 없는 문제”라며 “대기업 총수가 책임지는 자세를 보여준 것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이종훈 기자 taylor55@donga.com
박용 기자 park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