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동아일보
전체메뉴
검색
최근검색어
최근 검색어
내역이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닫기
language
language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동아미디어그룹
동아미디어그룹
채널A
스포츠동아
헬스동아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매거진
오피니언
사설
오늘과 내일
횡설수설
동아광장
시론
광화문에서
현장에서
POLL
뉴스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매거진
신동아
주간동아
여성동아
매거진동아
동아비즈니스리뷰
하버드비즈니스
리뷰코리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어린이 과학동아
수학동아
에듀동아
바이브랜드
섹션
책의 향기
스타일매거진Q
골든걸
edu+
디 오리지널
디스페셜
헬스동아
실시간 뉴스
이슈 포인트
연재 포인트
트렌드뉴스
뉴스레터 신청
기자 구독
동아APP서비스
오늘의신문
신문보기(PDF)
구독신청
동아디지털아카이브
보도자료
보이스뉴스
RSS
동아방송 DBS
채널A
스포츠동아
비즈N
MLB파크
보스
VODA
IT동아
게임동아
전체 연재
연재
정약용 탄생 250주년…茶山의 향기
공유하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12
개
구독
최신기사
날짜별
지면기사만 보기
지면기사만 보기
[정약용 탄생 250주년…茶山의 향기]“만물박사 정약용, 그는 한국의 다빈치”
“다산은 문화의 가치와 이념으로 국가 간 정치적 장벽이나 군사적 충돌을 해소하고 초월할 것을 주장했다. 그의 주장은 21세기 새로운 세계 질서 건립에 공헌할 것이다.”(황쥔제·黃俊傑 대만대 인문사회고등연구원장) 다산 정약용(1762∼1836) 탄생 250주년을 맞아 국내
2012-07-05 03:00
[정약용 탄생 250주년…茶山의 향기]예술의전당 - 강진 다산기념관
‘조용한 저 운림(雲林)은 푸르고 깊숙하네. 여기서 놀고 쉬며 나의 마음을 즐기노라.’ 다산 정약용(1762∼1836)의 시 48수와 서문을 모은 ‘열수선유시권(洌水船遊詩卷)’ 가운데 한 수다. 다산이 전남 강진에서 해배(解配)돼 고향인 경기 광주군 초부면 마재마을(현재의
2012-06-13 03:00
[정약용 탄생 250주년…茶山의 향기]<10·끝> 1930년대, 실학사상 재조명 나선 동아일보
《 “다산 정약용 선생은 근세조선의 유일한 정법가(政法家)이다. 아니 상하 오백 년에 다시 그 쌍(雙)이 적다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 선생 일인에 대한 고구(考究)는 곧 조선사 연구요, 조선근세사상의 연구요, 조선심혼(心魂)의 명예 내지 전조선성쇠존멸에 대한 연구이
2012-05-14 03:00
[정약용 탄생 250주년…茶山의 향기]<9> ‘평생 공부’ 몸소 보여준 아버지
《 1801년 신유옥사(辛酉獄事)로 유배생활을 시작할 당시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1762∼1836)은 마흔이었다. 그에게는 열아홉, 열여섯의 두 아들이 있었다. 요즘으로 치면 고3과 중3의 나이. 한창 공부하고 인성을 다듬을 때였다. 하지만 다산은 머나먼 유배지에서 오직
2012-04-30 03:00
[정약용 탄생 250주년…茶山의 향기]<8> ‘물 먹는’ 시기 견디는 법
《 “어떻게 해서든 살아남아라!” 정조를 도와 개혁을 추진하던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1762∼1836)은 정조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위기를 맞는다. 노론 벽파와 가까운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하면서 실학을 추구하던 남인들을 탄압하기 시작한 것이다. 잘나가던 다산은
2012-04-16 03:00
[정약용 탄생 250주년…茶山의 향기]<7> 실학사상 詩로 말하다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1762∼1836)의 인간적인 면모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그의 시다. 한문학자로서 ‘다산시연구’를 펴낸 송재소 성균관대 명예교수는 “다산은 단지 재능이 뛰어난 시인이 아니라 위대한 시인”이라고 평가했다. 다산의 시가 오늘날까지도 깊은
2012-04-02 03:00
[정약용 탄생 250주년…茶山의 향기]<6> 올바른 교육을 묻다
《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1762∼1836)은 전라도 강진에서 18년간 유배생활을 하면서 아이들을 직접 가르쳤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그는 중앙 사대부에게만 집중된 당시 교육체계의 문제점과 구태의연한 교육방식을 심각하게 고민했다. 그러고는 여러 저술을 통해 아동교
2012-03-19 03:00
[정약용 탄생 250주년…茶山의 향기]<5> 정보화시대 지식경영법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1762∼1836)이 살던 18세기 조선에는 청나라의 백과전서가 쏟아져 들어왔다. 널려 있는 온갖 정보를 수집하고 배열해 체계적이고 유용한 지식으로 바꾸는 것은 당시 지식인들의 주요 임무였다. 다산은 이 방면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 정보화
2012-02-27 03:00
[정약용 탄생 250주년…茶山의 향기]<4>우리 경제의 길을 말하다
《 “물질 자본이 아닌 창안적인 인간 자본을 키워라!” 지난 1000년의 역사를 돌이켜 보면 우리 민족의 경제 성장은 항상 전쟁 이후 평화기에 경제 대국과 적극적인 교역을 하며 이뤄졌다. 1차 성장은 11∼13세기 송나라의 경제 발전과 함께했고, 2차 성장은 15세기 명나
2012-02-13 03:00
[정약용 탄생 250주년…茶山의 향기]<3>미래 지도자상을 묻다
《 역사를 돌아보면 임진년엔 외국과의 전쟁이나 분쟁이 잦았다. 하지만 총선과 대선을 앞둔 2012년 임진년의 한국 사회는 정치 경제적인 분열의 양상이 ‘임진내란’을 걱정해야 할 정도다. ‘경세유표’ ‘목민심서’ ‘흠흠신서’ 등 경세학(經世學) 연구서를 통해 이상적
2012-01-30 03:00
[정약용 탄생 250주년…茶山의 향기]<2>다산이 말하는 국가 경영
《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1762∼1836)이 살았던 시기는 조선 르네상스의 끝자락에 속한다. 양란(임진왜란 병자호란) 후 큰 전쟁 없이 청나라와는 사대, 일본과는 교린 관계를 맺으며 발전하던 시기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양반이 급증했고 빈부 격차가 심화됐으며 민생
2012-01-16 03:00
[정약용 탄생 250주년…茶山의 향기]<1>그 깊고 아름다운 흔적들
《 유배생활의 시련 속에서도 실학을 집대성하고 19세기 초 조선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던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1762∼1836)이 올해 탄생 250주년을 맞았다. 다산은 정치 과학 예술 등 다방면에 탁월한 업적을 남긴 르네상스인이었으며 뜨거운 애민정신과 비
2012-01-02 03:00
1
최근 업데이트 연재
설명
해당 연재를 제외하고 전체 연재 목록 중
기사가 최신 업데이트된 순으로 보여드립니다.
닫기
횡설수설
천공의혹 팩트체크 중요하고 어렵지 않다[횡설수설/송평인]
최신기사 2023.02.03 21:30
기사
8,249
개
구독
주성하 기자의 ‘북에서 온 이웃’
북한군 위생병 9년, 한국에선 간호사로 7년[주성하의 북에서 온 이웃]
최신기사 2023.02.03 16:56
기사
32
개
구독
티키타카
조정훈 “민주당, 김건희 특검 또 급발진…이재명 사법리스크 물타기”[티키타카]
최신기사 2023.02.03 17:44
기사
5
개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