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롱 “봉쇄 안하면 40만명 추가 사망”…美, ‘트윈데믹’ 현실화 우려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10월 29일 18시 59분


코멘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이 심각한 유럽 국가와 미국 일부 지역에서 올해 3, 4월 1차 확산 때 시행했던 강력한 봉쇄조치를 도입하고 있다. 추가 감염을 막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지만 경제 악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고, 장기간 방역에 지친 국민들 역시 생계 우려와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 전면 봉쇄로 회귀한 유럽
AP통신 등에 따르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28일(현지 시간) TV대국민 담화를 통해 30일 0시부터 최소 1개월 간 전국에 봉쇄령을 발령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로 전 국민의 외출이 제한되고 지역간 이동은 금지된다. 출근, 생필품 구매, 병원 방문, 자녀 등하교 동행 등 예외적으로 이동이 허용된 경우에도 반드시 정부의 이동증명서를 지녀야 한다. 식당, 술집, 일반 상점, 대학도 모두 문을 닫는다. 다만 유치원과 초중고는 계속 운영된다. 노인요양시설, 대국민 공공 서비스 시설 역시 문을 열기로 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더 강한 봉쇄조치를 실시하지 않으면 40만 명이 추가로 사망할 수 있다는 예측 결과가 나왔다. 일일 신규 확진자를 5000명대로 낮추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프랑스는 이달 중순부터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일일 신규 확진자가 3만~5만 명에 달하자 17일부터 전국에 야간통금을 발령했다. 그런데도 별 다른 효과가 없자 결국 11일 만에 전면 봉쇄를 택했다. 29일 월드오미터 기준 프랑스의 누적 확진자는 123만 명을 넘어섰다.

독일 역시 다음달 2일부터 1개월 간 식당, 술집, 영화관, 공연장 등을 폐쇄하고 여행자제 권고를 내리기로 했다.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이날 전국 지방정부와의 회의 후 이를 결정했다. 다만 1차 유행 당시 봉쇄 조치와 달리 이번에는 일반 상점과 학교는 폐쇄하지 않기로 했다. 독일 역시 최근 일일 신규 확진자가 1만 명이 넘고 있다. 이탈리아는 22일 야간통금, 26일 식당·술집 영업제한 조치를 취한 데에 이어 추가 봉쇄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2차 확산이 너무 심각해 EU 차원에서도 대응을 강화하겠다. 내년 4월까지 코로나19 백신 공급을 시작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 트윈데믹 우려에 휩싸인 미국
미국 연방정부와 지방정부 역시 속속 봉쇄조치를 도입하고 있다. 미 3대 도시 중 하나인 시카고는 식당 실내영업을 금지하고 야외영업도 거리 유지 등 엄격한 조건 하에 허용하기로 했다. 25인 이상의 모임도 금지된다. 텍사스주 엘파소는 2주 자택대피령, 밤 10시 이후 통금령을 발령했다. 뉴저지주 뉴어크 역시 슈퍼마켓, 약국, 주유소를 제외한 모든 사업장은 오후 8시 이후 문을 닫도록 하고 미용실도 예약제로 운영하기로 했다. 위스콘신주는 넘치는 환자를 감당하기 위해 야전병원을 세웠다.

28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 코로나19 신규 환자는 최근 1주일 동안 약 50만 명이 늘었다. 이는 한 주 전보다 40% 가량 늘어난 규모다. 미 전체 50개 주 중 일리노이 등 20개 주에서 주간 확진자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 전역에서 입원 환자가 속출해 의료붕괴 우려도 고조되고 있다.

이런 와중에 북반구의 겨울을 맞아 독감 유행이 우려되면서 코로나19와 독감의 동시 대유행을 뜻하는 ‘트윈데믹(twindemic)’이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독감 관련 질환으로 숨진 사람이 6만 명, 입원 환자는 수십 만 명에 달했다. 코로나19가 창궐하는 올해는 이 숫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실제 이번 주 남부 아칸소에서 2020~2021 독감시즌 기준 첫 사망자가 나왔다. 앤서니 파우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은 27일 “코로나19 여파에서 벗어나 정상적인 모습을 갖추려면 최소 내년 말 또는 내후년은 돼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파리=김윤종 특파원 zozo@donga.com
뉴욕=유재동 특파원 jarret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