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표준화 실손 보험료는 지난달 10~12% 선에서 인상됐다. 지난해와 2019년에는 각각 9%, 8%대가 올랐으며 2018년에는 동결됐다. 2017년에는 회사별 편차가 커서 많게는 20% 이상 오르기도 했다. 보험사가 5년간 10%씩 네 차례 보험료를 인상했다고 가정할 경우 누적 인상률은 46%에 달한다.
구실손보험 역시 5년 누적 인상률이 50% 안팎에 달한다. 구실손보험은 2018년을 제외하고 2017년, 2019년에 10%씩 인상됐다. 작년에도 평균 9.9%가 올랐으며, 올해 인상률은 15∼19%가 적용될 예정이다. 5년간 누적 인상률은 53~58%이다. 실손보험 보험료가 지속적으로 인상된 배경은 손해율 악화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3, 5년 주기로 실손의료보험을 갱신하는 가입자의 경우 그간의 누적된 인상률이 반영되면서 보험료 인상률이 클 수 밖에 없다”며 “가입자의 연령과 개별보험사 상품마다 조금씩 다르겠지만, 전체적으로 누적된 것이 한꺼번에 보험료에 반영됐다고 보면 된다. 보통 보험료가 30~50% 오른 사람들이 많을 것 같다”고 말했다.
실손보험은 2009년 10월 표준화 이전에 판매된 구실손보험, 2009년 10월부터 2017년 4월까지 판매된 표준화 실손보험, 2017년 4월부터 판매되기 시작한 신실손보험 등 총 3가지 종류로 나뉜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구실손보험 가입자수는 전체 실손보험 가입자의 24.9%에 해당하는 867만명이다. 표준화 실손보험은 전체 가입자의 54.7%에 해당하는 1902만명이 계약을 유지 중이다. 신실손보험은 656만명으로 전체 가입자의 18.9%를 차지한다.
올해 표준화 실손보험과 구실손보험 가입자들이 보험 갱신 부담때문에 신실손보험 또는 7월 출시되는 ‘4세대’ 실손보험으로 갈아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본인이 가입해 있는 실손상품의 보험료 인상 속도와 함께 병원 이용횟수 등을 고려해 새로운 실손보험으로 갈아탈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울=뉴시스]
“국민을 아무리 개돼지로 안들…” 文캠프 출신 변호사 중수청 비판
‘尹 태도’ 지적한 정세균에…김경율 “삼권분립 엿바꿔 드셨나”
[단독]윤석열측 “尹총장, 이르면 오늘 사의 표명할 듯”
윤석열 “중수청 설치, 檢폐지 시도”… 3일 대구 방문해 추가메시지 낼듯
홍준표 “공수처 이어 중수청 설치? 文 수사 두려워서”
윤석열 “검수완박은 부패 판치게 하는 부패완판”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