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發 ‘바이오 혁명’ 불붙었다

  • 입력 2005년 10월 20일 03시 01분


코멘트
노무현 대통령과 부인 권양숙 여사가 19일 세계줄기세포허브 개소식에서 참석자들과 악수하고 있다. 왼쪽부터 크리스토퍼 쇼 영국 런던대 의대 교수, 영국의 이언 윌머트 박사, 미국의 제럴드 섀튼 교수. 석동률  기자
노무현 대통령과 부인 권양숙 여사가 19일 세계줄기세포허브 개소식에서 참석자들과 악수하고 있다. 왼쪽부터 크리스토퍼 쇼 영국 런던대 의대 교수, 영국의 이언 윌머트 박사, 미국의 제럴드 섀튼 교수. 석동률 기자
정부가 세계줄기세포허브를 한국에 개설한 데에는 세계무대에서 줄기세포연구의 주도국가가 되겠다는 강력한 의지가 담겨 있다.

서울대병원 내에 허브가 개설됨으로써 기초연구는 물론 임상연구가 용이해져 시너지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것도 의미가 있다. 황우석(黃禹錫) 서울대 석좌교수가 소장을 맡고 안규리(安圭里)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교수가 임상분야 총책임을 맡은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다.

▽어떤 일을 하게 되나=황 교수팀의 연구원 5명을 비롯해 20여 명의 연구원들이 상주해 환자의 등록 및 체세포 채취와 보관 및 줄기세포 배양 등의 일을 하게 된다. 또 미국과 영국에서 세계줄기세포허브의 한 조직인 해외줄기세포은행이 설립될 예정이어서 상호 네트워크체제를 이루게 된다. 이를 통해 외국인의 체세포 채취 및 배양 등도 이곳에서 이뤄질 예정이다.

연구팀은 세부적으로 △핵이식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 특화 △연구 활성화를 위한 줄기세포 관련 강좌와 국제연구발표회 개최 △각국 허브에 줄기세포 분양 등의 목표를 세워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각국 허브의 독자적 특성은 살리되 긴밀한 상호협력 체제 확립 △인력과 장비의 상호이용 △각국의 법률과 규제에 대한 공동 협력 △서울허브의 역량강화를 위해 미국과 영국 해외줄기세포은행과의 협력 등에 대해 각국 주요 연구팀과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이 허브를 각국에 흩어져 있는 줄기세포은행의 국제본부로 발전시킨다는 전략이다.

허브가 성공적으로 운영될 경우엔 파킨슨병 척수손상 등의 신경질환, 당뇨병, 녹내장, 청각장애 등 난치성 질환들을 중심으로 한 연구 및 치료제 개발이 이뤄질 전망이다.

이를 위해 허브에서는 11월부터 난치성 신경질환 환자를 중심으로 환자등록을 시작할 예정이다. 또 이를 위해 환자 선정 가이드라인을 정할 예정이다. 등록환자 중 자체 운영위원회의 엄격한 심사를 거친 뒤 선발된 사람을 대상으로 체세포 채취가 이뤄진다.

▽남은 과제는=세계줄기세포허브는 11월부터 당장 환자들을 대상으로 등록을 받는다고 하지만 임상에 적용하기까지는 5∼10년이라는 상당한 기간이 걸리기 때문에 ‘등록=치료’라고 생각하는 것은 성급한 판단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후 환자들을 어떻게 관리하며, 앞으로 새로운 복제기술을 개발했을 때 특허권을 어떻게 처리할지 등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협의가 없는 실정이다.

가장 큰 문제는 세계줄기세포허브의 출범에도 불구하고 배아줄기세포 연구가 생명윤리적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이다. 체세포 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필요한 난자기증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나 규정 또한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생명윤리 및 안전에 대한 법률 22조는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친 난치병 치료 목적에 한해 체세포복제를 허용한다는 막연한 방침만 명시돼 있다.

허브 추진위원인 서울대병원 안과 박기호(朴杞好) 교수는 “환자 등록은 줄기세포 연구 및 치료와 관련해 환자 수를 확보한다는 것”이라며 “당장 체세포 복제나 치료를 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진한 기자·의사 likeda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