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산업부는 “사업 재개가 아니라 사업허가 취소 시 발생할 한국수력원자력의 불이익을 방지하고 원만한 사업종결을 위한 것”이라고 했다. 공사 재개 계획은 없지만 정부 사업을 제때 끝내지 못한 한수원이 신규 발전사업 참여 제한 등으로 문제가 생길까 봐 연장을 결정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원자력업계에서는 공사 중단 이전 두산중공업 설비 발주 등에 투입된 7790억 원의 손해배상 문제를 놓고 한수원과 산업부의 책임론이 불거질 것을 우려해 해결 시점을 뒤로 미뤘다는 평가가 많다.
신한울 3·4호기는 당초 계획대로면 각각 2022, 2023년 준공 예정이었다. 하지만 2017년 5월 출범한 현 정부가 ‘탈원전 로드맵’을 발표하고 이 원전들을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빼버리자 공사가 중단됐다. 그 후 국내외 상황은 크게 변했다. 세계적 ‘탈(脫)탄소’ 움직임이 가속화하면서 원전이 재평가된 것이다.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의 효율과 안정성이 낮다 보니 미국 중국 영국 등 주요국들이 모두 공해 없이 전력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원전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한국은 이런 흐름과 동떨어져 탈원전 행보를 너무 서두르는 바람에 세계 최고 수준인 원전 경쟁력이 빠르게 무너지고 있다.
“국민을 아무리 개돼지로 안들…” 文캠프 출신 변호사 중수청 비판
‘尹 태도’ 지적한 정세균에…김경율 “삼권분립 엿바꿔 드셨나”
[단독]윤석열측 “尹총장, 이르면 오늘 사의 표명할 듯”
윤석열 “중수청 설치, 檢폐지 시도”… 3일 대구 방문해 추가메시지 낼듯
홍준표 “공수처 이어 중수청 설치? 文 수사 두려워서”
윤석열 “검수완박은 부패 판치게 하는 부패완판”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