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울산지역 고유가 주름살로 논란

  • 입력 2008년 3월 14일 06시 51분


《울산지역 기업체와 환경단체가 석탄연료 사용 문제를 놓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기업체들은 “사상 유례없는 고유가 시대를 맞아 연료비 절감을 위해 석탄연료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환경단체들은 “석탄연료를 사용하면 대기환경이 급속도로 악화된다”며 반대하고 있다.》

기업들 “유가급등… 석탄연료 허용을”

환경단체 “대기오염 가중 불보듯… 반대”

▽“석탄연료 사용해야”=울산석유화학단지 입주 기업들은 최근 울산상공회의소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서 “배럴당 110달러 안팎인 사상 최고의 고유가시대를 맞아 가장 경제성 있는 연료인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기업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규제”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탈황 설비 등을 갖추면 석탄연료를 사용해도 대기 오염물질 발생량을 기준치 이하로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업계 측은 올 1월 기준으로 황 함유량 0.3%의 저유황 벙커C유에 비해 석탄이 80%가량 가격이 싸다고 밝혔다.

울산석유화학공단 내 기업체 관계자는 “배럴당 유가가 100달러를 넘으면 벙커C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기업체는 채산성을 맞출 수 없다”며 “고유가가 장기화되면 울산석유화학공단 내 50여 기업체 가운데 30% 정도는 공장 가동을 멈출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SK에너지는 벤젠과 톨루엔 자일렌 등을 생산하는 울산 1∼4공장 가운데 1공장을 국제 유가가 오르기 시작한 지난해 7월부터 채산성 악화로 9개월째 가동을 중단하고 있는 실정이다.

석탄은 1973년 제1차 석유파동 이후 에너지원 다변화 정책에 따라 정부가 산업용 연료로 적극 권장했으나 대기오염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면서 1985년 대기환경보전법을 개정해 서울과 부산, 울산 등 대도시와 공단지역 등 13곳에서는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울산은 1990년부터 산업용 연료로 석탄 사용을 전면 규제하고 있다.

▽“대기오염을 가중시킨다”=울산환경운동연합과 울산시민연대 등 환경단체 회원들은 13일 오전 울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석탄연료 사용 기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그동안 석탄연료 사용 억제로 울산의 지난해 이산화황 농도가 0.007ppm으로 10년 전에 비해 80% 이상 줄어들었지만 런던 등 세계적인 도시(0.002ppm)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울산환경운동연합 장태원 공동의장은 “기업의 채산성 확보를 위해 석탄연료 사용을 허가하면 울산의 대기오염도는 1980년대 이전으로 되돌아가 시민들이 엄청난 피해를 보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울산시는 석탄연료 사용은 아직 이르다는 쪽이다.

정재락 기자 rak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