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혁신도시 선정기준 발표…사활건 유치戰 예고

  • 입력 2005년 7월 28일 03시 09분


코멘트
《정부가 27일 공개한 혁신도시 선정기준의 초점은 발전 가능성이다. 100점 만점에 성장 가능성 평가 항목에 무려 50점을 배점했다.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한 지방 도시를 발전시켜 균형 발전이라는 목표를 살리려는 취지로 풀이된다. 하지만 평가 항목의 구체성이 떨어져 기초 지방자치단체 간 혁신도시 유치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게 됐다. 또 일부 지역에 대해 복수의 혁신지구 건설을 허용키로 함에 따라 시도별로 1개의 혁신도시만을 만들어 지역 발전 거점으로 삼겠다는 당초 취지는 퇴색됐다.》

○발전 가능성에 높은 비중

정부의 평가항목은 △해당 시도의 발전을 이끌어나갈 만한 입지 여건을 갖췄는가를 보는 ‘혁신거점으로서의 발전 가능성’ △도시로 개발하기에 적합한지를 묻는 ‘도시개발 적정성’ △주변 지역의 발전에 대한 기여도를 보는 ‘지역 내 동반 성장 가능성’ 등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 가운데 혁신거점 발전 가능성에 50점이 배점됐다.

발전 가능성은 다시 △도로 철도 공항 등 주요 교통시설 및 행정중심도시와의 접근성(20점) △지역 전략산업의 효율적인 육성 및 대학 연구기관 기업 등과의 협력 가능성(20점) △기존도시 인프라 및 편익시설의 활용도(10점)로 구성됐다.

이런 평가를 통해 입지가 결정되면 혁신도시는 ‘공공기관과 산·학·연·관이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는 미래형 도시’가 된다는 것이 정부 설명이다.

○부산 강원은 분산, 나머지는 집중 본보가 정부 발표를 토대로 11개 시도에 확인한 결과 부산시와 강원도를 제외한 9개 시도는 정부 의도대로 혁신도시나 혁신지구를 조성한 뒤 이전기관을 집중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특히 광주시와 전남도는 함께 혁신도시를 건설할 방침이어서 눈길을 끈다.

집중배치 원칙에 따르지 않으면 최고 800억 원에 달하는 혁신도시 건설 지원금을 축소하는 등 불이익을 준다는 정부 방침 때문이다. 분산배치하려면 건설교통부와의 사전협의,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심의 등 까다로운 절차를 거치도록 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12개 기관이 이전하는 부산은 △영화진흥위원회와 영상물등급위원회 2곳은 해운대 벡스코 인근 지역에 △자산관리공사 주택금융공사 증권예탁결제원 대한주택보증 등 4곳은 남구 문현동 금융단지로 △해양연구원, 해양수산개발원, 해양조사원, 국립수산물품질검사원 등 4곳은 영도구 동삼동 매립지로 분산 배치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다.

강원도도 △광업진흥공사 석탄공사 석탄합리화사업단으로 구성된 자원개발군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대한적십자사 보훈복지의료공단의 건강생명군 △기타 관광공사와 국립공원관리공단, 산림항공관리소, 국립과학수사연구소,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지방행정연구원 등은 기능별 특성에 맞게 분산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건교부는 이에 대해 광역시는 혁신도시를 건설할 대규모 택지를 확보하기 어려운 데다 기존에 형성된 산업단지 등과 연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며 허용하기로 했다.

또 해양관련 기관이나 산림항공관리소처럼 바다나 산 등 특수한 지역에 위치해야 하는 기관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분산 배치를 허용해줄 방침이다.

○기초 지자체 간 경쟁 심화될 듯

정부가 분산 배치를 부분적으로 허용한다는 방침을 세움에 따라 기초 지자체 사이에 혁신도시는 유치하지 못하더라도 공공기관 일부는 확보하겠다는 경쟁이 치열해질 가능성이 생겼다. 내년에 있을 자치단체장 선거를 앞두고 일부 지역에서는 사활을 걸고 공공기관 유치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경남도의 한 관계자는 “어디어디가 후보지라는 말만 나와도 다른 시군에서 엄청나게 반발하는 상황”이라며 “이전 기관을 한곳으로 몰아서 배치하기가 결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후보지로 거론되는 지역의 땅값이 크게 오른 것도 사업 추진에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대부분 재정 여건이 넉넉하지 않은 지자체가 그만큼 늘어난 사업비를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황재성 기자 jsonhng@donga.com

사회부 종합

클릭하면 큰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