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종로 정비의 아이러니지금도 거리는 수많은 사람들을 맞고 보내며, 전차도 자동차도 이루 어디를 가고 어디서 오는지 심히 분주하다.네거리 복판엔 문명의 신식 기계가 붉고 푸른 예전 깃발 대신에 이리 저리 고개를 돌린다.스톱-주의-고-차, 사람, 동물이 똑 기예 배우듯 한다.…
《경성운동장(동대문운동장)의 변천사2008년 5월 14일 서울시는 철거를 앞둔 동대문운동장에서 ‘굿바이 동대문운동장’이라는 행사를 개최했다. 행사는 서울시장과 홍명보 한국 축구대표팀 감독(당시 한국올림픽축구대표팀 코치), 고 유상철 전 인천 감독(당시 선수) 등이 마지막으로 축구공을 …
《옛 서울역 ‘경성역’의 명암1925년 10월 15일 ‘경성역’ 낙성식이 열렸다. 행사에는 ‘관민 유지 4000명이 래집(來集)하였으며 간단히 식을 마친 후 정거장 내부를 관람’하기도 했다. ‘오후 한 시부터는 일반 부민에게 관람을 허락하기로 하였는 바 정각 전부터 관람자가 물결같이 …
《신사로 본 日 식민지 정책1913년 8월 29일 ‘왜성대(倭城臺) 위대신궁(大神宮)’에서는 ‘일한병합기념일 임시제전’이 거행됐다(매일신보). 이듬해 7월 30일에는 ‘경성의 관민 일동’이 메이지 천황(1912년 7월 30일 사망)을 추모하는 ‘요배(遙拜)의식’을 ‘왜성대 공원’에서 …
《1931년 반중 폭동 왜 일어났나“중국인 거리라고 불리는 동네에, 바로 그들 중국인과 인접해 살고 있으면서도 그들에게 관심을 갖는 것은 아이들뿐이었다. 어른들은 무관심하게 그러나 경멸하는 어조로 ‘뙤놈들’이라고 말했다. (중략) 그들은 우리에게 밀수업자, 아편쟁이, 누더기의 바늘땀마…
《1930년대 중반 ‘백화점 시대’“단연! 백화점시대”(‘부산일보’, 1935년 9월 21일) 1935년 한 신문 기사의 표제이다. 이 기사는 경성의 백화점 발행 상품권 총액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들어 “최근 경성 상업계의 호경기를 백화점이 리드”하고 있다고 했다. 이제 ‘백화점 시…
《종로 화신백화점 50년 흥망성쇠1920년대에 태어나 평생 서울 사대문 안에서 거주한 한 할머니는 당신이 칠십 평생을 보낸 서울을 이렇게 회고한다. “강남은 남의 나라야. 싫어. 나는 어디 갔다가도 종각 들어와서 화신상회가 보이면 마음이 그냥 안도야. 아이구 이제 나는 걸어서도 찾아갈…
《도시화 따라 늘어났던 화재1940년 1월 경성의 월간 화재 손해액은 50여만 원에 달했다. 겨울의 한가운데인 1월은 언제나 화재가 가장 많은 달이다. 하지만 1940년은 아주 이례적이었다. 전년 같은 달에 비해 손해액이 거의 5배나 되었기 때문이다. 화재가 상대적으로 적은 해라면 근…
《1920년대부터 청계천 정비 갑론을박청계천은 조선 건국기 한양을 수도로 정하면서 도성 중앙의 시냇물을 더 파고 넓혀서 조성한 하천이다. 전통적으로 도성의 남북을 구분하는 경계선이면서 더러운 물과 빗물을 모아 성 밖으로 배출하는 간선 하수도 역할을 했다. 또 평소에는 메말랐다가 홍수 …
《창경궁~종묘는 어떻게 끊겼나1922년 늦여름 어느 날 창덕궁에 기거하는 순종에게 놀라운 소식이 들려왔다. 총독부 토목기사들이 종묘 경내에 들어와 도로 예정선을 측량하고 그를 표시하는 침목(枕木)을 설치했다는 것이다. 게다가 침목은 영녕전(永寧殿)과 불과 30∼40m 떨어져 있었다. …
《일제가 창경원으로 바꾼 창경궁대중잡지 ‘별건곤’ 1934년 4월호에는 봄을 맞아 ‘꿈같은 눈물의 환상, 옛 궁궐 창경원의 벚꽃’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창경원의 벚꽃이 서울의 명소요 조선의 명소가 된 지는 오래다. 그러…
《상업 중심지 된 한은 앞 교차로동아일보 1939년 5월 7일 기사는 경성 시내의 한 공사 소식을 전한다. “조은(朝銀) 앞 로터리 경성의 이채로 등장, 조선은행 앞 로터리는 금년 봄 접어들며 공사를 재촉하더니 요즘은 공사는 필하고 잔디 입히고 식목하는 등 채색에 바쁘다. 이제 한가운…
《용산역 개발과 도시화 과정1908년 최남선이 지은 ‘경부텰도노래(京釜鐵道歌)’는 경부선의 출발역인 남대문역(현재 서울역)에서 종착역인 부산역까지 여러 역을 열거하면서 그 주변의 새로운 풍물을 묘사하는 형식의 장편 기행창가이다. 창가의 첫머리에는 이런 대목이 나온다. “관왕묘와 연화봉…
1915년 봄 ‘매일신보’에 실린 ‘여(余=나)는 경성 서대문이올시다’라는 기사의 말미는 이렇다. “돌이켜 다시 도량 넓게 생각하여보면 내 몸이 헐려나가는 것이 기쁘기 한량 없습니다. 이전에 사람의 지혜가 열리지 못하였을 때야말로 이런 성문이 능히 도읍의 간성이 되었지만은 세상 매사가…
《1914년 준공된 호화 ‘조선철도호텔’1936년 11월 6일 개봉한 영화 ‘미몽(迷夢)’은 현재 영상이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한국어 유성 영화이다. 영화의 주인공 애순은 남편과 어린 딸이 있는 주부로서 가정에 충실할 것을 강요하는 남편에게 반발하여 가출을 감행한다. 그리고 백화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