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지사의 열린캠프 상황실장 김영진 의원은 이날 오전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군사정권 시절처럼 행자부가 결정하면 집행하는 구조로 하면 편하게 진행될 수 있지만, 지방자치가 가진 특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지방자치는 각 지방자치단체 간 특성이 있는 것”이라며 “그 특성에 맞게 결정·집행하고 이에 따라 시·도민들이 평가하는 과정이기에 천편일률적으로 똑같이 하라는 것도 현재 지방자치가 확대된 상황에서 반드시 적절하다 보기 무리가 있다”고 꼬집었다.

홍 의원은 이 지사가 지사직을 유지하면서 경선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선 “책임감 있는 공직자라면 직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하고 함부로 던져선 안 된다”며 “지자체장으로서 책임감이 무겁기 때문에 지방선거에서 지자체장 사퇴를 규정하지 않고 선거법에서도 선거일 90일 전까지 사퇴로 시한을 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열린캠프 측이 전날(3일) 이낙연 전 대표의 필연캠프 수석대변인 오영훈 의원을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한 것을 두곤 “일방적인 생각, 악의적”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이재명 후보는 정치후원회를 통해 25억원의 후원금을 받아 합법적으로 정치 자금을 통해 지원하는데 마치 그것을 경기도민의 세금으로 지출한다고 일방적인 주장을 했다”며 “공식사과하고 조치에 따르는 게 타당하지 않을까 한다”고 철회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홍 의원도 “도비나 세비로 선거운동을 한다는 주장은 정말 떨어뜨릴 목적으로 허위사실을 유포한 것이나 다름없다”며 “굉장히 악의적이고 정치공세”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이 지사의 음주운전 전력을 두고 ‘재범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것에 대해선 분명하게 선을 그었다.
김 의원은 “음주운전과 관련해 이 지사가 명확한 책임을 인정했고, 당 예비후보로 등록하면서 범죄경력증명원을 분명히 냈다”며 재범 의혹에 대해선 “전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정세균 전 총리 측의 당내 검증단 설치 요구에 대해서 “검증은 당연하지만 시기에 맞는 적절성이 필요하다”며 “9명 후보가 등록할 시기에 검증해서 기준으로 하자면 타당하지만, 이미 9명 후보가 등록하고 모든 증명서를 내서 통과했고 6명의 후보로 경선을 진행하는 이 시기에 와서 또 검증하자는 건 전형적인 네거티브”라고 비판했다.
홍 의원은 “지나친 정치공세처럼 보이는 부분, 불필요한 의혹 제기라고 보이는 부분에 대해선 평가해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