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A “주한미군 한반도 조기 경보체계 대폭 수정”

  • 뉴스1
  • 입력 2019년 9월 6일 13시 34분


코멘트
주한미군 평택 신청사 전경.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주한미군 평택 신청사 전경.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주한미군이 제공하는 한반도 조기 전쟁경보 체계가 크게 수정된 것으로 알려졌다고 미국의소리(VOA)가 6일 전했다.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 작전참모부 정보국장인 제프리 크루즈 공군 중장은 지난 4일 워싱턴 인근에서 열린 한 세미나에서 “주한미군에 제공하는 72시간 전 조기경보 체제는 다양한 부서 인력이 정확성을 갖고 추적하는 공동 작업의 일환”이라면서 “북한 내부 안정성에 대한 경보까지도 생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고 말했다.

크루즈 국장은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사령관 부임 이후 최근 열린 회의 내용을 소개하면서 에이브럼스 사령관에게 “모든 내용을 전부 제공하기는 어려운 만큼 어떤 종류의 경보를 원하는지 정할 것을 요청했다”며 이에 에이브럼스 사령관이 3개 종류의 경보 우선순위를 제시했고 이에 따라 기존 조기경보 체계의 전면적 수정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 정보국장인 프랭크 휘트워스 해군 소장도 “25년 전까지만 해도 모든 관련 정보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정보 과잉’으로 입수한 정보에 대한 ‘평가 누락’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휘트워스 국장은 이는 대비태세와도 직접 연결되는 사안이며, 점점 통합돼가는 세계에서 2개 이상의 조기경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제대로 작동하는지 스스로 검증하기 어려운 현실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의 정보전략은 세계적 통합에 집중할 필요성이 있다는 합동참모본부의 방침을 소개하면서, 더 이상 지역 갈등에 고정되는 상황은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적대국들이 지역 갈등 상황에서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악용하려는 의도를 차단하기 위해서라도 기회비용을 따질 것이라는 설명이라고 VOA는 전했다.

또한 휘트워스 국장은 다양한 정보 변수로 인해 합동 정보작전의 신속성이 중요해졌다며, 특히 동맹국들과의 공조가 국방전략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방정보국 출신인 브루스 벡톨 앤젤로 주립대 교수는 VOA에 미국이 한-일 정보보호협정 종료를 우려하는 것도 ‘기회비용’에 대한 이런 인식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VOA는 표면적으로는 한-미, 미-일 양자 정보공유 체계로 회귀해도 정보 획득 수준에 큰 변화가 없지만, 시간의 ‘기회비용 발생’은 이미 정보 과잉을 겪고 있는 미국 정보당국에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