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가 13, 14일 18대 총선 당선자 299명 가운데 22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한나라당 응답자의 74.6%가 ‘상시 국회’를 지지했고, 민주당 및 친박연대 응답자는 절반이 넘는 56.7%와 60%가 이를 반대했다.
또 상임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고 진행하며, 법안을 표결에 부칠 권한을 갖는 상임위원장의 여야 배분방식에 대해서는 응답자 131명(59.5%)이 “관행대로 의석비율에 따라 배분하자”고 응답했다.
○ 상시 국회, 한나라당이 압도적 지지
청와대와 한나라당이 추진을 검토 중인 ‘365일 일하는 국회’는 한나라당 당선자들의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 한나라당 응답자 118명 가운데 74.6%인 88명이 찬성했고, 20.3%인 24명이 반대했다. 민주당은 22명(36.7%)만 찬성했고, 절반이 넘는 34명(56.7%)이 반대했다.
보수성향의 야당인 자유선진당과 친박연대는 답변이 엇갈렸다. 선진당은 찬성 5명, 반대 4명으로 양분된 반면 친박연대는 찬성 2명, 반대 6명으로 반대가 많았다.
찬성자들은 “국회가 더 열심히 일해야 한다”며 찬성 이유를 밝혔다.
한나라당에서는 이사철 박종희 신상진 당선자가, 민주당에서는 이석현 조영택 김세웅 당선자가 찬성했다. 이석현 당선자는 “상시 국회는 몇 년 전 내가 제안했다”고 찬성하면서도 “청와대가 지금 꺼낼 것까지는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민주당 김동철 당선자는 “늘 국회에 붙어 있으면 지역구는 언제 방문하며, 의원 외교를 위한 해외 출장은 언제 가느냐”며 반대 의사를 밝혔다. 한나라당 고흥길, 무소속 이해봉, 민주당 김성곤 당선자는 공무원의 업무 부담을 우려했다. 민주당 최철국 당선자는 “이렇게 되면 국민을 위한 정부가 아니라 국회를 위한 정부가 된다”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의 참모 출신인 한나라당 조해진 당선자는 “지금 제도에서도 여야 합의로 충분히 상시 국회를 운용할 수 있다”고 했다.
‘젊어졌고, 보수화했다’는 특징이 나타난 수도권 당선자(61명·73.5%)가 영남권 당선자(27명·55.1%)보다 상시 국회에 적극적이었다. 호남권 당선자는 13명(48.1%)만이 찬성했다.
국회에 처음 진입하는 새내기 당선자(61.2%)보다는 3선급 당선자(66.7%)가 더 적극적이었다. 의정 경험이 없는 당선자를 중심으로 응답자 10명이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지역구 챙기기 등 현안에 더 바쁠 것 같은 지역구 당선자(61.5%)가 비례대표(39.5%)보다 상시 국회를 더 선호했다.
한편 여야가 15일 ‘4월 25일부터 30일간 개회’에 합의한 ‘5월 임시국회’에 대해서는 한나라당은 90.7%라는 압도적 지지를 보냈고, 민주당은 51.7%만 찬성했다. 그러나 13, 14일 이틀간 본보 조사가 진행되던 상황에 민주당이 ‘4월 국회를 제안한다’는 당론을 확정하면서 13일 응답자는 반대, 14일 응답자는 찬성이 많았다.
○ “상임위 운영은 관행대로”
한나라당 당선자들은 55.9%가 ‘의석수대로 상임위원장 배분’이라는 과거 원칙에 따르자고 했다.
고흥길 당선자는 “미국 의회처럼 다수당이 전체 상임위원장을 독식하면 좀 위험하다”고 했다. 초선인 한나라당 이범관 당선자는 “다수당에 표를 몰아준 국민의 뜻에 따라 책임정치를 하려면 모든 상임위를 다수당이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민주당은 71.7%가 ‘과거 방식’을 선호했다. ‘다수당이 독식’에 찬성한 민주당 응답자는 1명도 없었다.
김승련 기자 srkim@donga.com
박재명 기자 jmpar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