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국회 소집을 위한 與野협상이 한보사태에 대한 TV공개청문회 문제에 걸려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설연휴전 조기개회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3일 오후 국회 귀빈식당에서 다시 만난 與野 총무들은 30여분만에 다음 회동 약속도 하지 못하고 제각기 자리를 뜬 것. 이날 국민회의 朴相千총무와 자민련 李廷武총무는 3개항의 요구조건중 특검제도입 주장을 철회하는 대신, 청문회 개최와 국정조사특위의 與野동수 구성을 여당측이 수용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신한국당 徐淸源총무는 국회법을 들어 조사특위 與野동수 구성 요구를 거부하고 청문회 문제에 대해서는 "일단 국회를 열어놓고 논의해가자"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협상 결과에 대해 신한국당 徐총무는 "야당의 특검제 요구는 당초부터 억지주장이었기 때문에 요구를 철회했다고 해서 양보로 볼 수 없다"며 "설전까지 계속 접촉, 설직후에는 개회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국민회의 朴총무는 "야당측의 양보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결렬됐다"며 "조기개회는 어려울 것 같다"고 비관적인 전망을 한 뒤 "문제가 잘 안풀리면 설연휴를 지낸 뒤 다시 장외로 나갈 가능성도 있다"고 엄포를 놓았다.
총무회담에 앞서 與野동수 구성과 특검제 요구를 철회한 자민련의 李총무는 "여당이 청문회도 못받겠다고 해서 합의를 보지 못했다"면서도 "계속 절충해나갈 것"이라고 밝혀 조기개회에 미련을 보였다.
자민련의 이날 일부 조건 철회는 빨리 국회를 열어 韓寶사태로 타격을 입은 충남지역 경제회생을 추구해야 하는 당내 사정에다, 국민회의가 내부적으로 사실상 특검제와 與野동수 구성 요구를 포기한 것을 감지한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 국민회의 역시 한보의혹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여론이 커질수록 임시국회 조기소집 압력도 덩달아 가중, 국회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기 때문에 국회 진입시기를 고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