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렉스설비 도입을 포함한 한보철강의 당진제철소 2단계 사업은 통상산업부 등 정부의 적극적인 권유에 의해 이뤄졌으며 한보사태는 정부의 잘못된 산업정책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한보철강 관계자가 밝혔다.
11일 한보철강 고위관계자는 『지난 94년 당시 통상산업부 장관이던 金喆壽(김철수)세계무역기구(WTO)사무차장의 적극적인 주도로 한보철강이 코렉스설비를 포함한 2단계 사업에 착수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당시 정부는 현대그룹의 제철소사업 진출을 막는 한편 부족한 냉연 및 열연제품을 확보하기 위해 한보그룹에 당진제철소 2단계 사업을 유도했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 한보철강은 1조5천억원 규모의 1단계 사업을 마무리하는데 정신이 없었기 때문에 코렉스공법에까지 신경쓸 여유가 없었다』며 『코렉스공법은 첨단기술로 인정돼 관세감면혜택 등 각종 정부지원이 뒤따른다고 해 깊이있는 사업검토 없이 뛰어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코렉스설비 등 첨단설비를 적극 권유하던 통산부관계자들이 지금 와서 「코렉스설비에 대해 모른다」고 하는 것은 어처구니없는 일』이라고 비난했다.
2단계 사업은 코렉스설비 2기를 포함, 총 3조9천억원을 투입해 냉연 2백만t과 열연 3백만t을 생산하는 대규모사업으로 94년 착공됐다. 한보철강은 현대그룹도 지난해 9월부터 통산부로부터 「코렉스공법 등을 채택하면 제철사업 허용을 고려해 보겠다」는 제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보철강 관계자는 『당진제철소는 2단계 사업이 완공돼도 물류시설 부족으로 정상운영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항만 등 물류시설이 갖춰지는 오는 99년까지는 공장을 돌릴 수 없게 돼 있다』고 말했다.
연산 8백만t씩 쏟아져 나오는 철강제품을 기존 물류시설로는 도저히 소화해낼 수 없다는 얘기다.
그는 『한보철강이 1조5천억원 규모인 1단계 사업에만 전념했다면 이처럼 부실화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이제 와서 무리한 사업계획에 대한 책임을 한보철강에만 묻는 것은 부당한 일』이라고 말했다.
〈林奎振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