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아버지]<8>음악평론가·한국예대 교수 홍승찬

  • 입력 2003년 7월 2일 18시 37분


코멘트
아버지(테너 홍춘선)의 오스트리아 빈 실황공연을 담은 슈베르트 ‘백조의 노래’ 앨범. 나는 아버지의 노래를 담은 옛 테이프를 가지고 98년 이 CD를 만들었다.-동아일보 자료사진
아버지(테너 홍춘선)의 오스트리아 빈 실황공연을 담은 슈베르트 ‘백조의 노래’ 앨범. 나는 아버지의 노래를 담은 옛 테이프를 가지고 98년 이 CD를 만들었다.-동아일보 자료사진
나의 아버지는 어머니와 함께 경기 안성에 사신다. 일요일마다 나는 그곳을 가족들과 함께 찾는다. 예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아버지와 나는 서로 할 말이 별로 없다.

철없던 시절에는 아버지를 몰라서 그랬지만 속속들이 헤아리고 있는 지금에 와서는 목이 메어 말문이 잘 열리지 않는다. 그래도 주말이면 어김없이 달려가는 것은 거기에 아버지가 아니라 내가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어려서 아버지는 따라가기에 엄두도 나지 않을 만큼 까마득히 높은 곳에 있었다. 한 남자가 태어나서 어떻게 뜻을 세우고 실행에 옮겨야 하는지에 대한 모범답안과도 같은 분이었다.

초등학교 입학식부터 대학 졸업식까지 아버지는 한 번도 모습을 보인 적이 없지만 그것이 오히려 더 자랑스러웠다. 바깥일에 최선을 다하다 보면 집안일은 돌볼 겨를이 없는 것이고, 간섭하기보다는 원하는 길을 말없이 밀어주는 것이 참된 아버지의 모습이라고 생각했다.

아버지는 30대에 예술대학과 음악대학 학장을 연임하면서 학교 살림을 직접 꾸려나갔고 국립 오페라단의 주역으로 누구보다 많은 무대를 감당해야 했다.

그것도 부족해 여학생들만의 오케스트라를 조직해서 중앙 무대에까지 진출시켰고 본격적인 리트 공부를 위해 뒤늦은 독일유학도 주저하지 않으셨다. 아버지의 벽을 넘을 자신이 없는 나는 음악을 포기했지만 끝내 미련을 버리지 못해 다시 음악으로 돌아갔다.

음악학을 전공해서 음악평론을 할 때도 아버지의 그림자는 항상 내 주위를 맴돌았다. 이런저런 지면에 실렸던 아버지의 글을 발견하기 전에는 글까지 아버지를 빼닮았다는 사실은 짐작조차 하지 못했다. 예술경영으로 방향을 돌리면서 아버지의 존재로부터 꽤나 멀어졌다고 생각했지만 그것도 착각이었다. 그 점만은 정말이지 다른 줄 알았는데 나서기 좋아하는 성격이 내게도 잠재돼 있었던 것이다.

진작에 아버지가 내게 그 점을 일러주셨다면 그토록 오랜 시간 방황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제 와서 원망하기에는 남은 시간이 별로 없다. 그래서 주말이면 늘 안성으로 발걸음을 옮기지만, 서로 얼굴만 마주볼 뿐 입이 떨어지지 않는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