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츠재단-정부 등 공동출자 설립
코로나 백신, 진단 기술 개발 지원
저개발국 대상 백신 보급에도 앞장

―게이츠재단이 기금을 출연한 점이 눈에 띈다. 출연 배경은….
“세계 공중보건 증진과 빈곤 퇴치를 위해 활동해 온 게이츠재단은 한국 정부의 개도국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에 대한 기여, 한국의 뛰어난 바이오 분야 제형 개발, 제조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에 관심을 가지며 이런 강점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국제보건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안다.”
“3가지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먼저 ‘바이러스 벡터(전달체) 기반 코로나19 백신’ 연구다. 바이러스 전달체 기술은 여러 바이러스 중 인체에 적용 가능한 바이러스에 항원을 발현하는 유전자를 삽입해 면역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기존 백신의 안전성, 개발 속도, 효력, 생산성 등 측면에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기술로, 다른 유행성 바이러스 질환에도 쓰일 수 있다. 또 혀 밑으로 녹여 투여하는 나노겔 제형의 코로나19 백신 연구와 머리카락 굵기 1000분의 1 수준의 바늘을 다수 배열한 마이크로니들 기술을 이용해 코로나19 DNA 백신을 투여하는 기술도 지원 중이다. 이 외 K방역의 핵심 역할을 한 코로나19 진단과 디지털 헬스기술 연구도 지원하고 있다.”
―라이트펀드가 감염병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지원하는 이유는….
“감염병 문제 해결에 필수적인 백신과 치료제는 암, 고혈압, 당뇨병 등 비감염성 질환 치료제에 비해 수익성이 낮아 관련 연구가 활발하지 않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에서 보듯 감염병 문제는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되는 보건 문제다. 팬데믹 전염병뿐 아니라 풍토병, 인수공통 전염병 등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 라이트펀드는 이런 감염병 연구에 기금을 지원하고 있다.”
―코로나19 백신 연구 외에 지원하는 다른 백신 연구는….
“저개발국 아이들을 위한 주사제형 콜레라 백신과 소아마비 백신을 포함한 6가 백신 연구, 결핵 백신, A형 간염 백신연구 등이 대표적이다. 현재 가격이 비싸 저개발국에 보급되지 않는 4가 수막구균성 수막염 백신을 저개발국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저비용 공정으로 개발하는 연구를 지원 중이다. 라이트펀드는 설립 2년 만에 코로나19 백신 연구를 포함해 국제보건을 위한 22개 연구를 지원하게 됐다. 특히 결핵, 수막구균성 수막염, A형 간염 백신 3종은 국산 백신이 아직 없다. 이 3종의 백신 연구가 성공하면 국제보건 증진에 기여할 뿐 아니라 국내 백신 자급률을 높이는 데도 기여할 수 있다. 인류의 생명을 위협하고 세계 경제 침체로 이어질 수 있는 감염병 연구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
이진한 의학전문기자·의사 likeda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