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공식 지휘체계서 5·18 발포’ 잇단 증언·기록…“실체 규명을”

  • 뉴시스
  • 입력 2019년 4월 1일 15시 10분


코멘트

전 주한미군 정보요원 등 전두환 광주서 회의 직후 발포 증언
육군본부 작전상황일지 발포 당일 정호용 등 3명 광주행 기록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지휘체계 이원화에 따라 계엄군의 집단발포가 이뤄졌을 가능성을 추론할 수 있는 증언과 기록물이 연이어 나오고 있다.

이에 집단발포 명령 실체와 전두환의 행적을 낱낱이 규명해 국가보고서에 기록해야 한다는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1일 5·18기념재단 등에 따르면, 최근 전 주한미군 방첩 정보요원 김용장 씨는 “전두환씨가 1980년 5월21일 광주비행장에서 정호용 특전사령관, 505보안부대 이재우 대령 등과 회의를 했고 헬기를 타고 서울로 돌아간 직후 발포·사살행위가 이뤄졌다”고 증언했다.

검찰이 1995년~1997년 수사 과정에 본 것으로 추정되는 ‘육군본부 작전교육참모부 작전상황일지’에도 ‘1980년 5월21일 (정호용)특전사령관 외 2명이 오전 8시부터 10시20분까지 기동용 헬기 UH-1H를 타고 광주로 향했다’고 기록돼 있다.

‘10·26 12·12 광주사태 후편(다큐멘터리)’에도 ‘소준열 전교사령관과 정호용 특전사령관이 머리를 맞댔다. 그러나 현지(광주)로 내려온 전두환 보안사령관의 의견은 조금 달랐다’고 적혀 있다.

진종채 2군사령관은 검찰 조사에서 “1980년 5월18일에서 27일 사이 ‘전두환·노태우 등이 광주비행장에 따로 따로 내려와 전교사령관, 505보안부대장을 만나고 갔다’는 사실을 2군사령부 참모부에서 보고받았다”고 진술했다.

증언·기록대로 11공수여단은 80년 5월21일 오후 1시께 옛 전남도청과 금남로에서 집회를 열던 시민들이 애국가를 부르는 순간 집단 발포했다.

계엄군은 당시 비무장 상태의 시민에게 조준 사격을 했다. 최소 시민 54명 이상이 숨지는 등 550여 명의 사상자가 났다.

발포 명령은 ‘보안·특전사령관 전두환·정호용’으로 이어지는 별도 지휘체계에 따라 이뤄졌을 것이란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1980년 5월20일과 21일 광주역과 도청 앞에서 집단 발포가 발생했지만, 3공수여단장과 11공수여단장은 상급자인 31사단장과 전교사령관에게 보고하지 않았다.

사법당국은 1997년 특전사령관 정호용이 공수부대 증파 결정·전교사령관 교체 등 중요한 결정에 직접 관여하고 수시로 3개 공수여단장들과 진압 대책을 논의하며 작전 지휘에 개입했다고 판단했다.

1980년 5월24일 광주 송암동과 호남고속도로 톨게이트 부근에서 계엄군끼리 ‘오인사격’에 의한 군인들의 대량 희생 등도 지휘체계의 이원화에서 비롯된 사례들로 꼽힌다.

이에 베일에 가려져 있는 집단발포 명령의 전모를 밝혀 책임을 묻고 역사로 남겨야 한다는 지적이다.

조진태 5·18기념재단 상임이사는 “발포 명령 관련 내용이 보고됐을 것으로 보이는 미국 국방부 기밀문서 찾기에 나섰다. 면밀한 연구로 전두환의 열흘간 행적을 밝히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재의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공동저자는 “증거를 남기지 않고 지휘체계 이원화에 따른 발포가 이뤄졌을 가능성이 유력하다. 향후 출범하는 진상조사위서 80년 5월20일 최세창·정호용·전두환으로 이어지는 발포 명령 체계와 관련된 흔적·자료를 찾아야 한다”고 전했다.

【광주=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