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볼턴·펜스에 끝판왕 트럼프까지…文대통령, 설득해 낼까

  • 뉴스1
  • 입력 2019년 4월 11일 21시 32분


코멘트

트럼프에 ‘매파 3인’ 만나…‘굿 이너프 딜’ 관철 주목
합의안 도출 분투 예상…긍정 결과시 후속조치 착수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백악관 트위터) 2018.12.1/뉴스1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백악관 트위터) 2018.12.1/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한국시간으로 11일 밤부터 12일 새벽 사이, 미국에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페달을 다시금 돌리기 위한 본격적인 ‘설득의 길’에 나선다.

문 대통령은 11일 오전(이하 현지시간)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존 볼턴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보좌관, 마이크 펜스 부통령에 이어 정오께 이 만남의 ‘끝판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까지 미측 주요인사들을 차례대로 만난다.

문 대통령의 이같은 노력이 ‘하노이 노딜’ 후,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북미 간극을 좁힐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현재까지 청와대 내부에선 문 대통령의 이러한 설득의 길에 반드시 성과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감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문 대통령의 방미 직전인 지난 9일 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은 북한과 미국의 신뢰를 갖고 있다”며 “이번에도(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후) 우리 역할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북미 분위기도 나쁘지 않다. 일단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10일 상원 외교위원회에서 열린 2020년 예산 요청 심사에서 대북제재 문제와 관련 “나는 거기에 약간의 여지를 두고 싶다”고 말했다.

불과 하루 전(9일) 상원 세출위원회 소위원회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독재자’라는 표현을 쓸 것이냐는 물음을 받은 뒤 “물론이다”고 언급하고 대북외교의 목표로 “완전히 검증된 비핵화(FFVD)”를 거론함으로써 북미 사이 긴장감을 조성했던 것과는 확연히 달라진 톤이다.

김 위원장도 전날(10일) 당 중앙위 제7기 제4차 전원회의를 개최한 가운데 자력갱생을 통한 경제건설 총력에 집중하겠다고 언급하고 대미 강경 발언이나 핵 관련 언급 등 미국을 자극하는 발언은 사실상 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은 자력갱생에 힘씀으로써 “제재로 우리를 굴복시킬 수 있다고 혈안이 되어 오판하는 적대세력들에게 심각한 타격을 주어야 한다”는 정도로만 대미 메시지를 냈다. 아울러 북한은 이날(11일) 최고인민회의 14기 대의원 대회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밤 8시에서 9시쯤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비슷한 시간에 문 대통령과 미측 인사들과의 만남이 시작되는 만큼 이를 주시하며 발표의 수위 조절을 할 것으로 보인다.

설득의 길에 나선 문 대통령의 첫 번째 관문은 매파(강경론자)로 꼽히는 폼페이오 국무장관, 볼턴 보좌관, 펜스 부통령까지 북한의 비핵화에 있어 ‘빅딜’(Big Deal)로 무장된 3인에게 우리의 북미 중재안인 ‘굿 이너프 딜’(Good enough Deal·충분히 좋은 거래)을 관철하는 것이다.

앞서 청와대는 미국을 향해 북한과 완전한 비핵화에 포괄적으로 합의하되, 이를 단번에 타결하는 빅딜이 아닌 ‘연속적인 수확’을 통해 만들어가자는 굿 이너프 딜을 제안한 바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북한에 대한 단계적 보상 건이 심도깊게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단계적 보상은 미국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고수하고 있는 대북제재의 완화 여부와 연계돼 있다.

이후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합의안 도출을 위해 분투할 것으로 보인다. 아직 공동기자회견과 같은 일정은 미정이다.

문 대통령은 부인 김정숙 여사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 내외와 오벌 오피스(대통령 집무실)에서 단독정상회담을 갖는다. 역대 한국 정상 중 대통령 부부가 오벌 오피스에 초대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영부인들은 사진 촬영 후 퇴장한다.

뒤이어 같은 장소에서 열리는 소규모 정상회담에는 우리 측에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강경화 외교부 장관, 조윤제 주미대사가, 미국 측에선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볼턴 보좌관,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가 각각 배석한다.

이후 대통령과 장관들이 내각회의를 하는 방인 캐비닛룸에서 양 정상이 각각 9명의 참모를 배석시킨 채 업무오찬을 겸한 확대정상회담이 열린다. 연이은 회담에서 문 대통령은 북미 중재자로서의 역할 극대화에 매진할 전망이다.

이날 회담 결과가 긍정적일 경우, 문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등을 적극 추진해 ‘포스트 하노이’ 발판을 단단히 다질 것으로 보인다.

남북정상회담의 경우, 오는 27일이 4·27남북정상회담 1주년인 만큼 이때를 전후해 열릴 가능성이 거론되고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은 5~6월 중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의용 실장은 지난 4일 국회 운영위원회 출석 당시 트럼프 대통령의 상반기 방한 계획 여부에 관해 “그럴 가능성을 전혀 배제하진 않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를 통해 제3차 북미정상회담을 견인, 한동안 멈춰있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행의 가속페달을 밟으려 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