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보측으로부터 돈을 받은 것으로 일부언론에 보도된 여야의원들은 19일 검찰수사발표에서 자신들의 이름이 거론되지않자 대부분 『당연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구설수에 올랐던 일부 의원들은 언론의 무책임한 보도에 대해 강력히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金德龍(김덕룡·신한국당의원)〓그동안 2,3차례 충분히 입장을 밝혔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더 이상 언급하고 싶지 않다.
▼朴成範(박성범·신한국당의원)〓본인의 5천만원 수수설은 뭔가 착오가 있었다. 당시 나는 돈을 받을 위치에 있지도 않았고 유망한 후보도 아니었다. 검찰수사 결과 결국 사실이 아니라는 점이 확인됐다. 유명세를 탄 것으로 생각한다. 흥분해서 왈가왈부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 정정보도 청구 등 대응책을 생각해 보지도 않았다.
▼金相賢(김상현·국민회의의원)〓한보사건은 정부가 투자우선순위의 차원에서 국책사업인 한보철강을 인허가한 것이 현명한 판단이었는가 또 엄청난 대출외압의 중심이 제대로 파헤쳐졌는가가 문제다. 언론보도에 대해 특별히 법적으로 문제삼을 생각은 없다. 나는 지금까지 실천을 통해 진실을 입증해 왔다.
▼朴鍾雄(박종웅·신한국당의원)〓우리는 무방비 상태에서 일방적으로 당한 피해자다. 검찰수사 결과가 나온 직후 뭐라 왈가왈부하면 또다른 「말」을 불러 일으킨다.
▼李喆鎔(이철용)신한국당강북을지구당위원장〓사필귀정(事必歸正)이다. 언론을 통해 문제가 제기된 만큼 언론 스스로 진실을 명확히 밝혀주기 바란다. 특히 지역구 주민들의 오해도 있는 만큼 본인의 3천만원 수수설에 대해 정정보도를 해줬으면 좋겠다.
▼金正秀(김정수·신한국당의원)〓반응을 보이지 않음.
▼李錫采(이석채)청와대경제수석〓검찰조사를 받은 것은 경제수석이라는 자리에 있기 때문에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검찰에서는 외압을 행사했느냐, 무슨 역할을 했느냐, 부도가 어떻게 났느냐에 대해 조사를 받았으며 나는 사건초기에 기자들에게 밝힌대로 얘기했다.
한보부도와 관련한 정부의 카드는 세개, 즉 △鄭泰守(정태수)총회장체제 유지와 △제삼자인수, 그리고 △최악의 시나리오로 부도를 내는 방안이 있었다. 정부도 부도를 내지않으려고 막판까지 노력했으나 정총회장의 경영권인도 거부로 무산됐다. 똑같은 상황이 다시 벌어진다 해도 같은 선택을 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洪在馨(홍재형)전 부총리겸 재정경제원장관(현 한국야구위원회총재)〓본인은 한사코 전화통화를 거부했다. 그는 비서관을 통해 『장관재직시절 한보철강에 관한 보고를 단 한차례도 받은 적이 없고 鄭泰守(정태수)총회장을 만나본 적도 없는데 단지 한보철강에 대출이 이뤄지던 시기에 장관을 지냈다는 이유만으로 수사대상에 이름이 오르내린데 대해 곤혹스러웠다』며 『수사가 끝난 마당에 한보때문에 다시 이름이 거론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朴在潤(박재윤)전통상산업부장관〓한보사태와 관련해 여기저기서 내 이름이 거명되는 바람에 그동안 마음고생을 좀 했다. 재직시 청렴한 경제관료로 봉사하려 애썼고 검찰수사에서도 이같은 사실이 입증된 것으로 생각한다.
다시한번 밝힐 것은 한보와 관련해 일각에서 몇가지 오해나 억측이 있었지만 내가 거짓말을 한 것은 하나도 없다는 점이다. 공직을 맡아 나름대로 열심히 깨끗이 일했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그것이 개인에게 오히려 불명예스런 일처럼 비치는 것은 나라의 장래를 위해 불행하다. 본의아니게 대통령께 누를 끼쳐 특히 죄송하다.
앞으로 불쾌한 일들은 모두 잊어버리고 금통위원으로서 금융산업의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하겠다. 난 원래 금융전문가 아닌가.
▼文正秀(문정수)부산시장〓한보사건 수사결과 나에 대한 소문이 근거없는 것으로 밝혀져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시장으로서 시민들의 오해를 풀게돼 매우 홀가분하다. 해결해야 할 현안이 산적해 있어 한보사태와 관련된 여러소문에 일일이 신경쓸 여유가 없었다. 앞으로 시정업무에 더욱 정진하겠다.
▼沈大平(심대평)충남지사〓한보그룹 鄭泰守(정태수)총회장에게 10억원을 받은 자치단체장으로 구설수에 올랐던 심지사는 검찰이 한보사건 수사결과를 발표한 19일 서산을 순시중이어서 직접통화가 불가능했다.
심지사의 한 측근은 「10억원 수수설」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진 것은 당연한 결과라는 반응을 보이면서도 『애당초 심지사는 「10억원수수설」과 아무 관련이 없었기 때문에 이를 언급하는 것 자체가 우스운 얘기』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