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 재산 변동 (단위: 원) | ||
신고일 | 재산 | 비고 |
2003년 3월 | 4억7200만 | 최초 신고 |
2003년 말 | 6억7668만 | 정기 신고 |
2004년 말 | 7억3485만 | 〃 |
2005년 말 | 8억2933만 | 〃 |
2006년 말 | 8억7076만 | 〃 |
2008년 2월 | 9억7224만 | 퇴직 신고 |
■ 참여정부 고위 공직자 퇴직 재산신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재산이 재임 5년간 4억7200만 원에서 9억7224만 원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포함한 노무현 정부 마지막 국무위원 17명의 평균 재산은 21억5516만 원. 직전 신고 때보다 2억5878만 원이 늘었다.
문재인 전 대통령비서실장 등 청와대 고위 공직자 18명의 평균 재산은 10억3290만 원으로 1억4585만 원 증가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관보를 통해 15일 공개한 참여정부 고위 공직자 퇴직 재산신고 내용이다.
3월에 퇴임한 박명재 전 행정자치부 장관, 임상규 전 농림부 장관, 변재진 전 보건복지부 장관, 이규용 전 환경부 장관 등 4명의 재산 내용은 5월에 공개된다. 윤리위는 또 이달 말경 이명박 정부의 고위 공직자 재산을 공개할 예정이다.
▽봉하마을 사저는 10억 원=노 전 대통령의 재산은 2006년 말 8억7076만 원에서 퇴직 시점인 올해 2월 25일에 1억148만 원(11.7%) 늘었다.
퇴임 뒤 머무는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 사저 공사에 대지가액(1억899만 원)과 신축 중도금(8억856만 원)을 합쳐 10억6155만 원을 들였다. 사저 신축을 위한 순수 금융 부채는 4억6700만 원.
예금은 본인과 부인 권양숙 여사, 장남과 손녀를 합쳐 3억4770만 원이었다. 2006년 12월 31일에는 6억2127만 원이었다.
노 전 대통령은 “주택 신축에 따른 공사비 지출 때문”이라고 예금이 줄어든 이유를 밝혔다.
▽장관들은 땅 부자=한 전 총리와 권오규 전 재정경제부 장관 등 총리와 장관 17명이 소유한 토지 가격(평균)은 6억4566만 원이었다.
직전 공개 때보다 평균 7233만 원 증가했다. 이는 청와대 고위 공직자 18명의 토지 재산(6765만 원)의 거의 10배에 해당한다.
장관들은 토지 외에 주택, 오피스텔 등 부동산을 중심으로 재산을 불렸다. 증가 재산 2억5878만 원 중 65.5%(1억6981만 원)가 건물에 집중됐다. 평균 예금은 6억717만 원에서 5억7955만 원으로 줄었다.
한 전 총리의 재산은 지난해 4월 31억3129만 원에서 올해 2월에 32억8308만 원으로 늘었다.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정성진 전 법무부 장관은 106억9727만 원. 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은 3억586만 원을 신고해 가장 ‘가난한’ 장관이 됐다. 2006년 말보다 재산이 192만 원 늘었다.
문 전 비서실장과 성경륭 전 정책실장은 각각 2164만 원, 383만 원이 줄었다고 신고했다.
▽뉴스메이커의 재산 급증=언론 대못질을 주도한 김창호 전 국정홍보처장은 직전 신고일부터 퇴임 때까지 재산이 3억2272만 원 증가했다고 신고했다.
본인 소유의 경기 성남시 분당구 아파트값이 2억2800만 원 올랐다. 또 본인과 배우자 및 모친의 급여저축으로 예금이 9272만 원 늘었다.
경찰청 기자실 폐쇄에 앞장섰던 이택순 전 경찰청장도 부동산값 상승 등으로 4억5845만 원이 오른 17억3128만 원을 신고했다.
언론 탄압의 또 다른 주역인 윤승용 전 대통령홍보수석비서관의 재산도 1억7999만 원 늘었다.
김만복 전 국정원장은 본인 소유 상가와 아파트값이 대폭 올라 직전 신고 때보다 재산이 4억7895만 원 증가했다.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도 1억7092만 원 늘어난 32억6287만 원을 신고했다.
이헌재 기자 uni@donga.com
이유종 기자 pen@donga.com
황규인 기자 kini@donga.com
노무현 정부 국무총리 및 국무위원 재산 신고 내용 (단위: 원) | ||||
이름 | 직위 | 직전 신고재산 | 퇴직 신고재산 | 증감액 |
한덕수 | 국무총리 | 31억3129만 | 32억8308만 | 1억5179만 |
윤대희 | 국무조정실장 | 10억9420만 | 12억8595만 | 1억9175만 |
정성진 | 법무부 장관 | 95억1748만 | 106억9727만 | 11억7979만 |
김종민 | 문화관광부 장관 | 8억2261만 | 16억2747만 | 8억486만 |
김우식 | 과학기술부 장관 | 41억8641만 | 46억2697만 | 4억4056만 |
장병완 | 기획예산처 장관 | 34억7256만 | 38억2527만 | 3억5271만 |
김영주 | 산업자원부 장관 | 8억4678만 | 11억5746만 | 3억1068만 |
장하진 | 여성가족부 장관 | 5억9231만 | 8억5394만 | 2억6163만 |
김장수 | 국방부 장관 | 7억5348만 | 9억1765만 | 1억6417만 |
강무현 | 해양수산부 장관 | 12억8843만 | 14억3627만 | 1억4784만 |
이용섭 | 건설교통부 장관 | 11억2402만 | 12억6360만 | 1억3958만 |
송민순 | 외교통상부 장관 | 11억2057만 | 12억2411만 | 1억354만 |
김신일 |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 2억9022만 | 3억8407만 | 9385만 |
이상수 | 노동부 장관 | 8억7712만 | 9억1976만 | 4264만 |
권오규 | 재정경제부 장관 | 13억1827만 | 13억3953만 | 2126만 |
이재정 | 통일부 장관 | 3억394만 | 3억586만 | 192만 |
유영환 | 정보통신부 장관 | 14억9870만 | 14억8952만 | ―918만 |
노무현 정부 청와대 고위공직자 재산 신고 내용 (단위: 원) | ||||
이름 | 직위 | 직전 신고재산 | 퇴직 신고재산 | 증감액 |
문재인 | 비서실장 | 8억9504만 | 8억7340만 | ―2164만 |
성경륭 | 정책실장 | 7억9093만 | 7억8710만 | ―383만 |
백종천 |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 | 26억9003만 | 31억3562만 | 4억4559만 |
염상국 | 경호실장 | 2억9718만 | 4억8843만 | 1억9125만 |
차의환 | 혁신관리수석비서관 | 20억8289만 | 24억2726만 | 3억4437만 |
정영애 | 인사수석비서관 | 17억3339만 | 19억6804만 | 2억3465만 |
윤병세 | 통일외교안보정책 수석비서관 | 7억6606만 | 9억6206만 | 1억9600만 |
윤승용 | 홍보수석비서관 | 7억2977만 | 9억0977만 | 1억7999만 |
김대유 | 경제정책 수석비서관 | 17억8215만 | 19억4902만 | 1억6687만 |
이호철 | 민정수석비서관 | 5억0889만 | 5억5711만 | 4822만 |
김용익 | 사회정책 수석비서관 | 2억8659만 | 3억2706만 | 4047만 |
김선화 | 정보과학기술보좌관 | 3억7041만 | 4억7604만 | 1억563만 |
정상문 | 총무비서관 | 4억5792만 | 7억7398만 | 3억1606만 |
김인회 | 시민사회비서관 | 5억8640만 | 7억8423만 | 1억9783만 |
최경희 | 교육문화비서관 | 8억9600만 | 10억5163만 | 1억5563만 |
오상호 | 의전비서관 | 2억1102만 | 2억4686만 | 3584만 |
배기찬 | 정책조정비서관 | 3억1683만 | 3억1333만 | ―350만 |
임대윤 | 사회조정1비서관 | 5억6539만 | 5억6133만 | ―406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