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런 문명과 교양의 땅에 역사적인 전쟁터가 가득하다면 사람들은 믿기 어려워한다. 기원전 168년 아이밀루스 파울루스는 올림포스산 아래 피두스에서 마케도니아 장창보병대를 격파했다. 이 전투에서 로마군 신형 전술 대형의 위력이 증명되었고, 로마군은 세계를 제패할 자신감을 얻었다. 그의 아들인 스키피오 소 아프리카누스는 3차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를 완전히 멸망시켰다. 로마가 제국으로 가는 길에 벌인 두 번의 결정적인 전투,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가 대결한 파르살루스 전투와 카이사르가 죽은 후 그의 후계자인 옥타비아누스와 안토니우스가 카이사르 암살자와 벌인 필리페 전투는 이탈리아 땅이 아닌 그리스에서 벌어졌다.
비잔틴 제국 시절, 제1차 세계대전 때도 그리스에서 국제적인 세력이 거듭 충돌했다. 그리스가 전쟁의 땅이 된 이유는 지정학적 요인이다. 지형이 요새 건축에 유리하고, 유럽과 중동, 오스만이 연결되는 교차로였다. 21세기 한국은 어떤가? 미국 일본 러시아와 중국이 대치하는 십자로이다. 냉전 종식 이후로 이런 의미가 좀 약화되나 했는데, 중국이 대만에 대한 위협을 강화하면서 지정학적 위협지수가 대폭 상승했다. 중국의 대만 공격은 ‘하나의 중국’이라는 중국의 국내 문제가 아니다. 이젠 대놓고 제국주의 국가가 된 중국의 위협이 동남아로 확대되고, 한국과 일본의 생명줄인 해양무역로가 당장 중국의 관할 아래로 들어간다. 경항공모함 정도로는 대처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이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미국-인도를 잇는 쿼드 연합이 결성되었고, 한국의 외교적 입장을 난처하게 하고 있다.
임용한 역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