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약 관련 용어 및 질병분류체계의 표준화와 국제화가 추진된다.
또 대규모 한약재 재배·가공단지의 조성 및 다양한 한방제제의 개발등 한약을 고부가가치 수출상품으로 키우기 위한 전략이 마련된다.
국무총리 직속 자문기구인 의료개혁위원회(위원장 朴又東 前대법관)는13일 오후2시 서울 은평구 불광동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정책토론회를 열어 이같은 내용의 「한의·약의 세계화를 위한 연구지원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의개위는 정부차원의 중·의약 과학화를 적극 지원하는 중국과 달리 우리는 제도적 지원이 미흡하다면서 앞으로 ▲한의약의 과학화 및 표준화 ▲한의·약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 ▲국제교류 및 홍보 활성화 등의 발전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의개위는 이 방안에서 과학화 및 표준화를 해 우선 규격화 대상 한약재를 현재의 36종에서 대한약전에 수록(1백30종)되거나 자주 사용하는 품목(3백84종)으로까지 계적으로 확대해나갈 것을 제시했다.
아울러 의사 한의사 약사 기타 전문가 등이 공동참여해 양·한방 협진체계 개발, 한의·약의 임상평가, 한약제형 및 제제의 연구개발 등을 맡을 가칭 「국립통합의학연구소」를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수출대상국이 요구하는 품질수준에 맞는 고부가가치 제제 및 한방의료기기의 개발, 국내 원료 한약재 생산기반 확충및 유통현대화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국제교류를 활성화하고 해외시장정보 수집기반의 확충책으로 미국 등 선진국과의 공동학술대회 및 동양의학 국제전람회 개최, 한의사 해외의료봉사사업 및 해외 한방병원 설립 지원, 남·북한간 교류 등을 추진해야 할 것으로 제시됐다.
의개위는 이날 토론회에 이어 이달중에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분과위원회와 전체회의를 열어 의견을 수렴한뒤 3월말까지 한의·약발전방안을 확정,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