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가 가파르게 오르고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 부담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대 10년간 안정적인 거주가 가능한 장기임대주택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에 따르면 올해 2월 말 기준 전국 민간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1901만7900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7.4% 상승했다. 같은 기간 서울은 16.92% 오른 4420만6800원을 기록했다.
분양가상한제 적용 시 기준이 되는 기본형건축비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2월, 간접공사비와 노무비 증가 등을 반영해 기본형건축비(16~25층 이하, 전용면적 60~85㎡ 지상층 기준)를 ㎡당 210만6000원에서 214만 원으로 1.61% 인상했다고 밝혔다.
여기에 오는 6월부터는 30가구 이상 민간 아파트에 제로에너지건축물 5등급 인증이 의무화될 예정이다.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단열재, 고성능 창호, 태양광 설비 등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자재와 장비를 사용해야 한다. 국토교통부는 전용면적 84㎡ 기준으로 가구당 약 130만 원의 공사비 증가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나 건설업계는 최소 300만 원 이상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하고 있다.
대출 규제도 강화될 예정이다. 올해 7월부터 시행되는 스트레스 DSR 3단계는 향후 금리 상승 가능성을 반영해 가산금리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실질적인 대출 한도 축소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자금 조달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장기임대주택이 실수요자들에게 주거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장기임대주택은 임대료 상승폭이 제한적이며 주변 시세 대비 낮은 가격으로 거주할 수 있다. 또한 최대 10년간 재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거주가 가능하다. 일반 주택과 달리 주택 수에 포함되지 않아 임대 기간 동안 취득세,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등의 세금 부담도 없다.
업계 한 관계자는 “장기임대주택은 분양가 상승과 대출 규제 등으로 주거 안정성이 낮아진 상황에서 대안이 될 수 있다”며 “내 집 마련이 어려운 실수요자들이 장기임대주택을 통해 일정 기간 거주 안정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과 제주 등 주요 지역에서도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민간임대주택 공급이 잇따르고 있다.
롯데건설은 4월 중 서울 용산구 갈월동 일원에 조성되는 ‘용산 남영역 롯데캐슬 헤리티지’의 임차인을 모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지하 4층지상 24층, 1개 동 규모로 전용면적 2349㎡ 총 269가구로 구성됐다. 이 중 공공임대 52가구를 제외한 217가구가 민간임대 물량이다. 재계약을 통해 최대 10년까지 거주가 가능하며, 보증금과 임대료는 주변 시세 대비 합리적인 수준으로 책정될 계획이다. 단지는 지하철 1호선 남영역 인근에 위치하며 4호선 숙대입구역과 4·6호선 환승역인 삼각지역도 도보권에 있다. 인근에는 용산공원, 효창공원 등이 있으며 대형 유통시설과 영화관 등 생활 편의시설도 밀집해 있다.
우암건설도 4월 중 서울 용산구 서계동에 위치한 ‘어반허브 서울스테이션’의 임차인을 모집할 예정이다. 지하 5층지상 10층, 전용면적 2035㎡ 총 265가구 규모로 이 중 152가구가 민간임대로 공급된다. 입주자는 계약 갱신을 통해 최대 10년간 거주할 수 있다. 단지는 지하철 1호선, 4호선, GTX-A, 공항철도 등이 지나는 서울역 인근에 위치해 광역 접근성이 높다. 종로, 여의도 등 중심업무지구로의 출퇴근도 가능하다. 인근에는 대형 쇼핑몰과 공원이 위치해 있다.
두진건설은 서울 동대문구 장안동에서 ‘장안동 하트리움’의 추가 임차인을 모집할 계획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5층, 전용면적 1836㎡ 총 284가구 규모이며 이번에 추가 공급되는 민간임대 물량은 39가구다. 지하철 5호선 장한평역이 인근에 있어 시청, 여의도 등지로 이동이 용이하며 세종대, 건국대, 한양대, 서울시립대 등 대학가 접근성도 갖췄다.
제일건설은 4월 제주 제주시 건입동 일원에 조성 중인 ‘제주 중부공원 제일풍경채 센트럴파크’ 일부를 장기일반 민간임대주택으로 공급한다. 단지는 지하 4층~지상 15층, 12개 동, 총 728세대 규모로 이 중 전용면적 66㎡ 75세대가 민간임대 물량이다. 최대 10년간 거주가 가능하며 민간공원 특례사업을 통해 중부공원 약 17만㎡가 함께 조성된다. 약 1.7㎞ 산책로, 친환경 놀이시설이 계획돼 있고 커뮤니티 시설로는 피트니스, GX룸, 사우나, 실내 골프연습장, 독서실, 라운지카페 등이 마련될 예정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