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받쳤던 동학개미들, 이탈 시작하나

  • 뉴시스
  • 입력 2020년 10월 7일 07시 30분


코멘트

"정부의 신용대출·빚투 제재로 유동성 약화될 수 있어"

증시를 받쳤던 동학개미들의 이탈 조짐이 조금씩 보이고 있다. 강력했던 매수세가 다소 약화되고 있으며 9월 중순 이후 일부 실망한 개인이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 정부가 빚투에 대한 제재를 시작했으며 대주주 요건 완화도 과세 범위만 변경되는 것이 유력해 이탈 가속화가 우려되고 있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7월~9월) 코스피서 개인 거래비중이 연속 70%를 상회했다. 이는 2002년 7월부터 9월까지의 3개월간 이후 약 18년만이다. 특히 최근 3개월 누적 개인거래대금은 657조원에 달한다.

동학개미들의 폭발적인 거래량에 힘입어 8월 일평균 거래대금은 16조2000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고, 9월에는 14조2000억원으로 2번째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개인의 거래비중은 지난 2000년부터 2002년에는 꾸준히 70%를 상회한 바 있다. 닷컴버블을 전후로 주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인터넷 보급으로 홈트레이딩시스템(HTS)이 나오면서 개인들이 주식에 접근하기 쉬워진 영향이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증시 상황이 2002년 당시와 유사하다는 점을 감안해 증시를 받치던 동학개미들이 이제 이탈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개인에 의한 유동성 장세라는 점과 신용대출 등에 대한 제재가 시작되고 있기 때문이다.

2002년의 경우, 처음 등장했던 마이너스 카드에 대한 제재가 시작되면서 유동성의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했고 현재는 정부가 신용대출, 빚투를 제한하기 위함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8~9월 부진한 주가 흐름 등으로 수익률에 실망하는 개인들도 나오고 있어 점차 주식시장에서 발을 빼는 동학개미들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김광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현재 상황이 2002년과 조금 닮아있는 것 같다”며 “개인들이 유동성을 바탕으로 투자를 한 것과 개인 신용대출 제한하려는 정부의 움직임 등이 유사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2002년의 경우, 카드사태 만큼 큰 충격을 주진 않을 것이나, 유동성이 제한돼 한계가 보일 수 있다”며 “특히 8~9월 투자한 개인들은 수익을 내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아 실망한 개인들을 만들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명절 연휴 전부터 매도세의 흐름을 기록 중이다. 지난 9월28일부터 이날까지 개인투자자들은 4거래일 연속 순매도하고 있다. 이 기간 순매도 규모는 약 7700억원 수준이다.

여기에 대주주 요건 강화도 상당히 큰 부담으로 작용 중이다. 기획재정부는 내년부터 주식 양도세 과세 대상인 대주주 여부를 판단하는 주식 보유액 기준을 현행 10억원에서 3억원으로 낮출 예정이다. 올해 12월말 기준 3억원 이상 보유한 주주가 그 대상이 된다. 만약 대주주로 분류될 경우, 내년 4월부터 주식 매매 차익의 22~33%를 세금으로 내야한다.

이로 인해 매년 12월말 개인투자자들의 강한 매도세가 나타났다. 과세기준이 15억원에서 10억원으로 줄어든 지난해 12월, 개인투자자들은 코스피서 3조8275억원, 코스닥에서 1조원을 각각 순매도했다. 2017년 12월에는 코스피서 3조6645억원, 코스닥서 1조46669억원을 팔았다. 올해는 개인투자자들의 거래비중이 높았고, 요건도 10억원에서 3억원으로 대폭 낮아져 더 많은 매도세가 예상된다.

여당의 요청으로 기획재정부가 과세 기준을 재검토하고 있으나, 요건 3억원은 유지되고 가족 합산 과세 범위만 재검토 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세 범위 재검토만 이뤄질 경우, 개인들의 매도 폭탄이 나타날 수 있다.

김승한 유화증권 연구원은 국내증시는 대주주 요건 변화 직전해의 연말에 개인 매도 규모 확대가 반복돼 왔다“며 ”올해는 기관이나 외국인이 아닌 개인의 직접투자가 국내증시 수급 개선을 주도해 왔다는 점에서 정부의 대주주 요건 강화 시행여부가 4분기 국내증시 수급에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개인투자자들의 반발에 따라 보완책을 모색 중인 정부가 직계존비속 합산과세 규정 완화뿐만 아니라 금액요건도 완화할지 여부가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