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화웨이 제재에 韓 반도체 ‘셈법 복잡’

  • 뉴스1
  • 입력 2020년 5월 19일 10시 28분


코멘트
2012년 9월 기공식을 갖고 20개월의 공사기간을 통해 완성된 삼성전자 시안 반도체공장. 총 34.5만평의 부지에 연면적 7만평 규모로 건설됐으며 10나노급 낸드플레시 메모리를 양산한다.(삼성전자 제공)
2012년 9월 기공식을 갖고 20개월의 공사기간을 통해 완성된 삼성전자 시안 반도체공장. 총 34.5만평의 부지에 연면적 7만평 규모로 건설됐으며 10나노급 낸드플레시 메모리를 양산한다.(삼성전자 제공)
미국이 화웨이에 대한 반도체 공급을 제재하기로 결정하면서 화웨이를 고객사로 둔 한국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19) 이후 해외 사업장 방문을 중단했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4개월만에 해외 현장경영에 나선 곳이 중국 시안 반도체 공장이란 점에서 삼성전자의 대응방안에도 업계의 이목이 쏠린다.

18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의 기술과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해외 반도체 기업이 제품을 중국 통신장비 제조사 화웨이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승인을 거쳐야 한다는 화웨이에 대한 추가 제재안을 발표했다.

이번 제재는 미 상무부가 화웨이를 거래제한 명단에 올리고 미국에 생산시설이 있는 반도체 기업이 화웨이와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사전 승인을 받게 한 지난 2019년 5월의 조치에서 한발 더 나아간 것이다.

그간 화웨이는 대만의 TSMC에 위탁 생산을 맡기는 방식으로 핵심 반도체를 조달해 퀄컴을 비롯한 미국 기업의 제품을 대체해왔다. 업계에서 이번 조치의 일차적인 대상이 TSMC라고 보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TSMC의 전체 매출에서 화웨이 향 매출은 14% 정도로 알려져 있다.

공교롭게도 TSMC는 미국 애리조나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 건설을 비롯해 약 15조에 달하는 투자를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직접적으로는 화웨이가 설계하고 파운드리 업체가 위탁생산한 반도체를 겨냥한 것이지만, 화웨이의 영업이 위축될 경우 화웨이를 고객사로 두고 있는 우리나라의 메모리 반도체 기업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메모리 반도체 생산에서 미국 기술의 의존도 또한 높기 때문이다.

지난해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지난해 전체 매출 26조9907억원 중에서 중국의 매출은 12조5702억원으로 절반 정도에 달한다. 화웨이의 매출 비중은 13.7% 정도로 알려져 있다. 이번 조치로 인해 화웨이의 스마트폰 생산이 급감할 경우 SK하이닉스의 매출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화웨이는 2019년 기준 애플과 베스트바이 등과 더불어 삼성전자의 5대 매출처 중 하나다. 다만, 삼성전자 입장에서 화웨이는 고객사이기도 하지만 경쟁사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이번 조치로 인해 삼성전자가 어떤 영향을 받을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시각이다.

김영건 미래에셋대우 애널리스트는 “2019년 기준 유럽시장에서의 삼성전자 점유율은 34%고, 화웨이가 2위인 23%대 점유율을 지키고 있다”면서 “반도체 제재로 화웨이의 스마트폰 생산에 차질을 빚을 경우 삼성전자의 유럽시장 반사수혜를 기대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만약 이번 화웨이에 대한 제재가 오포나 비보와 같은 스마트폰 제조 업체들에까지 확장되거나 중국 정부가 애플에 대해 보복성 제재를 하고 중국 내에서 미국 제품 불매운동이 전개될 경우 한국 메모리 업체의 셈법은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공급망이 워낙 복잡하게 얽혀 있기 떄문에 지금으로서는 상황이 어떻게 변하는지 지켜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이날 진교영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 사장 등 임직원들과 함께 중국 산시성에 위치한 시안(西安) 반도체 공장을 방문했다.

삼성전자는 이 부회장의 이번 현장 방문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장기화에 따른 사업 관련 영향과 대책을 논의하는 것이라고 밝혔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반도체 자급’ 정책이 이뤄지는 시점에서의 중국 사업장 방문이어서 이 부회장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모일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