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4사 망 연결해 ‘인터넷대란’ 방지… 업계 “3년전 대책 반복”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12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정부 ‘제2 KT대란’ 재발 방지 대책

사진출처=pixabay
사진출처=pixabay
특정 통신사에서 유·무선 인터넷망 장애 사고가 나면 다른 통신사의 네트워크로 트래픽(통신 데이터 전송)을 통째로 넘겨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는 상호 보완 체계가 도입된다. 2018년 11월 KT 아현지사 화재 사고 이후 후속 대책으로 마련한 ‘재난 로밍’ 서비스와 크게 다르지 않은 방식이어서 정보기술(IT) 업계에선 한계가 있는 대안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 방안’을 발표했다. 10월 25일 전국에서 1시간 넘게 이어진 KT의 유·무선 인터넷망 장애 사고의 후속 대책이다.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4사는 내년 상반기(1∼6월)부터 상호 백업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각 사의 무선 통신망을 다른 업체의 유선 통신망에 연결한 뒤 비상시에 이를 통하도록 해 이동통신 서비스가 끊어지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통신사 간 백업용 망을 구축하면 KT처럼 유·무선 동시 통신 장애가 발생했을 때 무선 서비스만이라도 다른 업체의 인프라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는 게 과기정통부의 설명이다.

인터넷 장애 사고가 발생했을 때 정부와 통신사들이 보유한 전국 34만 개 와이파이 망을 무료로 개방해 이용자를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유·무선 통신망이 동시에 끊기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용자가 무선 통신 서비스라도 계속 쓸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만들어 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선 인터넷망을 주로 쓰는 소상공인을 위해선 주문결제기기(POS)를 스마트폰 ‘테더링’(데이터 함께 쓰기)으로 연결해 쓸 수 있는 기능을 개발한다. 유선 인터넷이 끊어져 결제기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 스마트폰 무선 인터넷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과기정통부는 내년 7월까지 기능 개발이 완료될 것으로 보고 있다.

장애가 발생했을 때 이용자가 다른 통신사의 인프라를 통해 무선 서비스를 계속 쓸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이미 구축된 재난 로밍 서비스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비판도 있다. 이용자가 일시적으로 타사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빌려 쓸 수 있도록 한 재난 로밍 대응 체계는 10월 사고 당시에는 작동하지 않았다. 홍진배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아현지사 화재 때는 국지적인 통신 사고 대응에 초점을 맞췄던 것이 사실”이라며 “이번에는 다양한 재난 상황을 최대한 고려해 여러 방안을 담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과기정통부는 핵심 네트워크 장비에 일부 오류가 발생해도 문제가 전체 장비로 퍼지지 않도록 안전장치를 마련하기로 했다. 사전에 지정하지 않은 정보는 네트워크 장비가 서로 주고받을 수 없도록 차단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장비 교체 과정에서 협력사 직원이 명령어 한 줄을 빠뜨리고 입력해 전국적인 시스템 마비로 커진 KT 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한 조치다. 잘못된 명령어나 데이터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관제 기술을 적용하고, 네트워크 장비 교체 등의 작업은 중앙 관리 조직에서 승인한 직원만 정해진 시간에 할 수 있도록 통제 시스템도 강화하기로 했다.


지민구 기자 warum@donga.com
#통신4사#인터넷대란#제2 kt대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