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추적]연안해역 20여곳 불발탄 수천발 방치

  • 입력 2000년 12월 11일 18시 32분


코멘트
해군과 공군, 해양경찰청 등이 해상 사격훈련을 벌이는 인근 해역에 수천발의 중대형 불발탄이 그대로 방치돼 인명 피해는 물론 해양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녹색연합은 11일 해군(16곳) 공군(11곳) 해양경찰청(12곳) 국방과학연구소(6곳) 등이 공동 또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20여곳의 연안 해상 사격훈련장 위치와 함께 불발탄 실태 및 피해 사례 등을 공개하며 실태조사와 배상 등을 촉구했다.

이중 전북 군산시 육도면 직도 부근을 조사한 녹색연합은 “직도 주변에는 수천발로 추정되는 불발탄이 방치돼 있다”며 “어민들이 조업할 때 불발탄이 그물에 걸려 올라오는 일이 다반사”라고 말했다. 실제로 일부 어민은 불발탄을 고물상에 판매하기 위해 수거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97년과 99년, 올해 초 등 3차례에 걸쳐 폭발사고가 났다는 것.

95년까지 해군이 함포사격장으로 사용했던 부산 남형제섬 일대 바닷속에도 중대형 불발탄 300여발이 방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해역은 부산, 경남 거제 통영시 어민들이 조업을 위해 많이 올 뿐만 아니라 스킨스쿠버 다이버들도 즐겨 찾는 곳.

이곳에서는 12월1일에도 거제시 해금강 앞바다에서 조업중이던 ‘91세중호’의 그물에 길이 26㎝의 대잠수함용 고폭소이탄이 걸려 올라왔으며 지난해 12월에는 부산 사하구 다대동의 한 고철수집상이 어민으로부터 넘겨받은 불발탄을 처리하던 중 폭사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국방부와 해군측은 “외국에서도 해상 사격훈련 중 발생한 불발탄은 바다에 버리는 것이 관례”라고 밝혔다.

그러나 녹색연합은 “외국의 해상사격훈련은 심해에서 이뤄지며 우리처럼 불발탄으로 인명피해가 나거나 어선의 그물에 걸려 올라오는 일도 없다”고 주장했다.

녹색연합은 이 밖의 해상 사격훈련장에도 불발탄이 산재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전국적인 실태조사 △피해주민의 명단 공개와 배상 △군부대의 해양오염행위 단속 △해양오염방지법 개정 등을 요구했다.

▼불발탄 처리는?▼

군당국은 사용기한이 지난 노후탄이나 훈련과정에서 발생한 불발탄을 자체 시설을 이용해 처리하고 있다.

육군과 공군의 경우 노후탄이나 불발탄을 ‘기폭(起爆)처리장’으로 옮겨 처리하는데 20㎜이하 소형탄은 불을 붙여 폐기한다. 박격포탄 전차탄 등 중대형 포탄은 종류별로 모아서 기폭처리장 내 땅에 묻은 뒤 폭약을 이용해 터뜨린다. 여기서 나오는 폐기물은 처리절차에 따라 해당 업체로 넘어가지만 탄피는 대부분 재활용된다.

해군은 육군이나 공군보다 폭탄 사용량이 많지 않아 기폭처리장을 별도로 운영하지 않고 병기탄약창에서 탄약이 있는 신관 부분을 제거하거나 태우는 방식으로 처리한다.

<서영아·송상근기자>sy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