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이러한 내용의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개발 계획을 정하고 본격적인 사업에 돌입하기로 했다.
앞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달 화재가 발생한 구룡마을 현장을 찾아 “진행되고 있는 재개발 사업이 빨리 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밝힌 바 있다. 서울시가 신속한 정비 사업을 위해 100% 공공 재개발을 추진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시는 용적률 상향을 통해 공급 규모를 당초 계획한 2800여 가구에서 3600가구로 늘릴 것으로 알려졌다. 건물 최고 높이는 35층으로 예상되고 있다. 앞서 시는 지난 2020년 6월 임대 1107가구, 분양 1731가구 등 2838가구를 짓는 구룡마을 사업계획을 고시한 바 있다.
물량 일부에는 SH(서울주택도시공사)가 추진하는 ‘토지임대부’ 주택도 포함될 전망이다. 토지임대부 방식은 토지는 SH가 소유하고, 건물만 분양하는 방식이다.
시행사인 SH는 조만간 공고를 내고 토지 보상 절차에 돌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감정평가에 따른 공시가격 기준으로 보상 절차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