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충격’ 덮친 자동차 제조업…실업급여 ‘역대 최대’

  • 뉴시스
  • 입력 2020년 8월 2일 07시 23분


코멘트

고용정보원, '자동차 제조업 고용동향' 보고서
5월 고용보험 피보험자 2.3% 감소…사상 최저
완성차 제조업보다 '자동차 부품' 제조업 심각
5월 실업급여 신청자, 지급자 등 '최대치' 경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국내 자동차 제조업 부문의 고용 위기가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지난 5월 자동차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고 같은 달 자동차 제조업 내에서도 부품 제조업 부문의 실업급여(구직급여) 신청자 수는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추세적 성장 둔화 속에 코로나19 장기화까지 겹치면서 자동차 제조업의 고용 악화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2일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자동차 제조업 고용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자동차 제조업 고용보험 피보험자는 총 37만5678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9012명(2.3%) 감소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자동차 제조업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는 2018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2017년 40만명을 넘어섰으나 2018년 39만명대, 지난해 38만명대로 떨어지더니 올해 들어서는 37만명대로 진입했다.

자동차 산업의 성장 둔화와 산업 규모 감소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공장 중단과 생산 차질 등이 동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같은 자동차 제조업 고용 상황은 대기업 중심의 완성차 제조업보다 중소기업이 주를 이루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에서 더욱 심각한 모습이다.

지난 5월 완성차 제조업 피보험자는 15만1316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 감소에 그쳤다. 반면 자동차 부품 제조업 피보험자는 22만4362만명으로 3.1% 줄어 역대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자동차 제조업의 고용 악화는 실업급여 관련 수치 증가를 통해서도 확인되고 있다.

실업급여는 일정 기간 고용보험에 가입한 사람이 실직했을 때 정부가 실업자의 생계유지나 구직활동을 돕기 위해 일정액을 지원하는 제도다. ‘구직급여’라고도 불리며 고용보험기금을 통해 지급된다.

실업급여 역시 완성차 제조업보다 자동차 부품 제조업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난 5월 자동차 부품 제조업 부문의 실업급여 신규 신청자는 1287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무려 179.2% 급증했다. 이는 역대 최대 기록이다. 실업급여 신규 신청자는 2월 566명, 3월 651명, 4월 709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오윤석 고용정보원 연구원은 “5월 실업급여 신청자수 증가는 코로나19로 인한 국외 자동차 부품 소재 수급 어려움과 일부 자동차 기업의 경영난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5월 실업급여 지급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46.8% 증가한 3445명, 지급 건수는 36.8% 늘어난 3640건으로 이 역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최근 5개월간 실업급여 신청자의 근속 연수를 보면 완성차와 부품 제조업 모두 1년 미만~5년 미만 비율이 70% 이상이었다. 상대적으로 저숙력 노동자에 대한 인력 감소가 이뤄지고 있다는 뜻이다.

실업 사유별로는 해고나 권고사직, 명예훼손 등 회사 불황에 따른 인원 감축 퇴사가 90% 이상을 차지했다.

실업급여 신청자를 연령별로 보면 완성차와 부품 제조업 모두 30~59세가 77% 이상이었다. 성별의 경우 완성차와 부품 제조업에서 남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89.6%, 64.6%으로 높았다.

문제는 전반적인 성장 둔화와 코로나19 확산으로 자동차 제조업의 고용 회복이 단기간 이뤄지기 쉽지 않다는 점이다.

오 연구원은 “향후 코로나19로 인한 경영 악화가 장기화될 수 있어 추가적인 자동차 산업의 고용 변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일자리 지원 및 대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실업 및 실업 예정 대상의 일자리 사업 확대, 자동차 산업 관련 중소기업 대상 고용유지지원금 조건 완화, 주요 자동차 기업의 고용조정 사전협의 등의 지원 정책에 대한 고려와 확대를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보고서는 고용정보원의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DB)를 바탕으로 했다. 고용보험 DB가 모든 고용시장 현황을 대표하지 않아 노동시장 전체의 수급 상황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