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국토관리청 “만성 체증 해소할 최적노선”
울산시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이 추진하는 국도 7호선 우회도로(옥동∼농소) 개설을 놓고 시행자와 주민들의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울산 남구 남부순환도로∼태화강∼중구 성안동∼북구 중산동 약수 나들목을 연결하는 길이 16.9km 4차로(너비 20m)의 이 도로는 총사업비 3470억 원을 들여 올해 착공해 2013년 완공할 예정이다.
▽“고가도로 개설되면 주민 피해 막대”=도로 개설에 강력하게 반대하는 중구 태화동 주민들은 “주택가 바로 옆으로 10∼13m 높이의 고가도로가 건설되도록 설계돼 있다”며 “고가도로가 개통되면 소음 등 엄청난 피해가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주민비상대책위 추영환 공동대표는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는 사업을 하면서 설명회만 1차례 했을 뿐 주민 공청회는 한 번도 없었다”며 “고가도로 주변 1000여 가구는 소음과 분진, 조망권 침해 등의 피해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고가도로 건설에 적극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굳이 도로를 건설하려면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가도로보다는 평면도로로 건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민들은 1월부터 도로 개설 예정지인 태화동 희마아파트 옆에서 천막농성을 벌여왔으며, 8일과 11일 울산시청에서 항의농성을 벌이기로 했다.
▽“설계변경 불가”=울산시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울산 도심의 교통 혼잡을 줄일 수 있는 최적의 노선이기 때문에 도로 개설이 불가피하다는 쪽이다.
울산∼경주를 잇는 국도 7호선이 만성적인 교통체증을 겪고 있기 때문에 울산의 숙원사업 가운데 하나로 추진된 국도 7호선 우회도로가 일부 지역 주민의 반대로 차질을 빚어서는 안 된다는 것.
울산시는 “태화동 구간만 평면도로로 개설할 경우 다른 구간 도로와 높이 차 때문에 연결할 수 없다”며 “우회도로는 미래 울산 남북 교통의 중심축이 되는 중요한 간선도로이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서 노선을 변경하거나 평면교차로로 설계를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한편 울산환경운동연합은 최근 발표한 성명서에서 “국도 7호선 우회도로가 개설될 경우 백로와 철새 서식지인 대숲의 생태환경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사업 재검토를 촉구했다.
정재락 기자 raks@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