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李基鎭·宋平仁기자】 「한보부도 태풍」으로 당진제철소가 주원료인 고철의 재고물량부족과 가스공급중단위기, 생산기술인력의 이탈로 조업중단위기에 처해 있다.
또 당진제철소와 거래했던 수많은 소규모업체들이 연쇄부도를 당하는 등 대전충남권 지역경제도 휘청거리고 있다.
28일 당진제철소측에 따르면 이날 일본에서 들어온 7천8백t의 고철이 관세를 내지 못해 통관이 안된 데 이어 오는 2월5일 미국에서 들어오는 고철 5만8천t도 통관이 불투명하다는 것.
회사측은 이 때문에 『제철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고철재고물량이 2∼3일후면 모두 바닥나 특별한 대책이 없이는 공장가동이 어렵다』고 밝혔다.특히 그동안 가스를 공급해온 유공측도 밀린 17억여원의 가스대금을 내지 않으면 29일부터 가스공급을 중단하겠다고 통보했다.
이와 함께 한보철강 B지구공장 건설에 참여하고 있는 일용직 건설기술인력도 노임을 받지 못하자 이탈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또 지난 24일부터 고철운송대금을 달라며 한보철강주변에 차량으로 바리케이드를 치고 철야농성을 벌여온 당진 인천지역 17개운송업자 1백여명은 28일 밀린 운송요금 대신에 철근과 핫코일을 달라고 요구하며 농성을 계속하고 있다.
이들은 『1백억원에 달하는 운송대금을 한보가 아닌 한보철강판매로부터 어음으로 받은데다 이중 60억원은 오는 2월18일 만기가 돌아와 연쇄부도를 맞게 됐다』고 말했다.한편 한보철강부도에 따른 여파로 대전 충남지역업체들의 피해규모도 하루가 다르게 늘고 있다.
충남도는 28일 현재까지 한보부도로 인한 이 지역업체의 물품 및 용역대금, 전기세 등의 피해액은 8백60억원으로 전날보다 1백개업체 2백95억원이 늘어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채업자의 어음할인과 거래사실을 밝히기 어려운 재하청업체들의 피해도 큰 것으로 알려져 시간이 흐를수록 피해규모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충남도와 당진군은 28일에도 유관기관대책회의를 갖고 한보부도로 피해를 본 지역업체를 조사하는 한편 영세업자에 대한 지원을 중앙정부에 강력히 건의하기로 했다.
충남도관계자는 『당진의 경우 중앙에서 파악하는 것보다 피해규모가 훨씬 커 지역경제가 완전마비될 지경이지만 중앙정부의 구제대책은 한보의 1차협력업체 및 하청업체에만 신경을 쓰고 있다』면서 『제삼자인수 및 법정관리에 앞서 당장 생계가 막막한 소규모 영세업자들에 대한 대책마련이 절실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