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공동이익 추구”…中 리창 총리 “믿음직한 좋은 이웃”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5월 26일 15시 36분


코멘트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리창 중국 총리를 영접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4.5.26.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리창(李强) 중국 총리와 양자회담을 가졌다. 윤 대통령과 리 총리의 회담은 지난해 9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아세안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회담에 이어 두 번째다.

윤 대통령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지난해 9월 자카르타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서 리 총리님과 회담을 가진 이후 다시 이렇게 만나게 돼서 반갑다”며 “중국 국무원 총리께서 한국을 찾으신 것이 2015년 리거창 총리께서 오신 이후 9년만이니 만큼 이번 방한이 더욱 뜻깊다고 생각한다”고 환영했다.

이어 “한중 양국이 우리의 양자 관계뿐만이 아니라 국제사회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며 “지난 2022년 11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시진핑 주석님과 만나 이를 위한 유익한 협의를 가진 것을 기억한다”고 말했다.

또 “최근 양국 간에 다양한 분야에서 장관급 대화가 재개되고 지방정부간 교류도 활성화되고 있다”며 “양국이 앞으로도 계속 교류와 협력을 강화하고, 서로 존중하며 공동이익을 추구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 하마스 사태가 지속되고 있고 이로 인해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도 가중되고 있다”며 “지난 30여 년간 한중 양국이 여러 난관을 함께 극복하며 서로의 발전과 성장에 기여해 왔듯이 오늘날의 글로벌 복합위기 속에서도 양국 간 협력을 계속 강화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리창 중국 총리와의 양자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5.26. 대통령실 제공


리 총리는 시진핑 주석의 안부 인사를 전한 뒤 “대통령님께서 건강하고 좋은 중한관계는 양국 근본적 이익에 부합한다고 말씀하신 것이 기억난다”고 운을 뗐다.

이어 “중한 양국 수교 30여년의 역사를 돌이켜보면 양국 관계는 신속한 발전을 이룩했고 특히 경제, 무역 분야에서 풍부한 성과를 거두어 양국 인민에게 커다란 혜택을 가져다 줬다”며 “우리는 항상 상호 존중을 견지하고, 평등한 대화와 진심 어린 의사소통을 통해 끊임없이 우호와 상호신뢰를 심화시켜 왔다”고 말했다.

또 “우리는 개방과 포용을 견지해 공동의 정신으로 공감대를 모으고 차이점을 해소해 나가면서 좋은 협력의 분위기를 유지해왔다”며 “그리고 우리는 호혜 윈윈을 견지하고, 실질적 협력과 이익에 융합을 강화해 공동의 발전과 번영을 촉진해 왔다”고 했다.

리 총리는 “이 모든 소중한 경험들에 대해서 우리는 함께 소중하게 여기고 또한 오래도록 견지해 나가기를 바란다. 중국 측은 한국 측과 함께 노력해 서로에게 믿음직한 좋은 이웃, 또한 서로가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파트너로 되고 싶다”며 “이번 회의에서 적극적인 성과를 거둬 3국 간에 협력과 이 지역의 발전을 위해 응당한 기여를 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날 한중회담에는 리 총리를 비롯해 중국 측에서 우정룽 국무위원 겸 국무원 비서장, 진좡룽 공업정보화부 부장, 왕원타오 상무부 부장, 쑨예리 문화여유부 부장, 마자오쉬 외교부 상무부부장,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 쑨웨이둥 외교부 부부장, 류쑤서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부주임, 캉쉬핑 총리판공실 주임 등이 참석했다.

우리 정부에서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조태열 외교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정재호 주중대사,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 이도운 홍보수석, 박춘섭 경제수석, 이충면 외교비서관 등이 자리했다.

이날 회담에서는 한중 FTA를 비롯한 경제통상 협력 확대 등 현안에 대한 협력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이후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와도 양자 회담을 가진다. 이날 저녁에는 3국 대표단과 경제계 인사가 참석하는 공식 환영 만찬을 주재한다.

다음날인 27일에는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가 열린다. 3국 정상은 △경제통상 협력 △과학기술, 디지털 전환 협력 △인적 교류 △기후변화 대응 협력을 통한 지속 가능한 발전 도모 △보건 및 고령화 대응 협력 △재난 및 안전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한다. 논의 결과는 공동선언문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김혜린 동아닷컴 기자 sinnala8@donga.com
#윤석열#리창#한중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