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마이니치 신문에 따르면 지난 5일 왕이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과 통화를 했다. 통화에서 민감한 주제들도 오고갔다. 모테기 외무상은 센카쿠 열도 문제와 홍콩,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인권 문제에 대해 언급한 것으로 전해진다. 아직 중국 측 발표는 나오지 않았지만 중국도 이에 반발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앞서 일본은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방한 당시 중국에 대한 인권 문제를 공동 발표문에 채택하면서 대중 강경 입장을 보인 바 있다. 이러한 상황 속 중일 외교 수장 간 통화가 성사된 점은 예상 밖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관계악화 속에서도 중·일 양국이 대화는 이어가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현재 최악이라고 불리는 한일관계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강제징용과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국 법원의 판결에 일본 정부가 반발하면서 2019년 7월 한국에 대한 경제보복을 단행해 한일관계가 얼어붙었다.
한국 정부는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하는 한미일 공조에 발을 맞추기 위해 한일관계 개선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협조하면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미국을 끌어들인다는 구상이다.
정 장관도 내신기자 간담회에서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 전향적인 입장을 보이며 일본에 ‘화해의 손짓’을 보였다. 그는 “일본과의 소통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한일 외교장관 회담이 조기에 개최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구체적인 회담 방식에 대해서도 열려있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나 일본은 한국이 역사문제에 대해 해결안을 가져오지 않으면 고위급 대화에 응하지 않겠다는 방침으로 한국 측의 대화 의지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해 오고 있다.
다만 최근 미국의 개입에 일본도 어느 정도 움직이는 모양새다. 한미일 공조아래 한일 간 고위급 의사소통이 시작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10일 동일본 대지진 10주기를 맞아 정 장관이 위로 서신을 보냈고, 블링컨 장관이 동북아 순방 기간이었던 지난달 17일 모테기 외무상이 답례 서신을 보냈다. 간접적으로 나마 미국의 입김이 작용한 것으로 관측된다.

이달 말 개최될 것으로 보이는 한미일 외교장관회담에서도 정 장관과 모테기 외무상이 양자회담에 나설지 주목된다. 그에 앞서 한일 관계 해빙 분위기 조성 차원에서 양 장관이 통화를 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이원덕 국민대학교 일본학과 교수는 “한일 간 역사문제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쉽지 않다”면서 “한미일 관계는 잘 조율될 것으로 보이지만 양자관계는 계속 이렇게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그러면서도 “양자 외교장관 또는 정상 대면외교가 이뤄질 수 있는 것은 올림픽 전후가 될 수 있다”면서 “일본도 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해 다급하게 한일관계 악화 국면을 풀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근본적인 문제 해결 없이는 이 국면도 단기간에 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뉴스1)
[광화문에서/김지현]“더이상 지지할수 없는 이유” 민주당에 등돌린 2030
김근식 “대통령님, K방역 우려먹지 말고 K백신 말하십시오”
“김어준, 교통방송서 퇴출해라” 靑 청원, 사흘 만에 14만 명 돌파
吳 "서울형 상생방역…자가진단 키트 노래방 시범도입”
민심 경고에도 文 국정 마이웨이…지지율 최저 경신
노무현의 사람 냄새 사라진 문재인 청와대 [최영해의 폴리코노미]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