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국회/여야 대책]野,현철씨 청문회 증인채택 재확인

  • 입력 1997년 2월 17일 20시 15분


[박제균·이철희·정용관기자] 여야는 17일 제183회 임시국회개회에 앞서 의원총회 간부회의 등을 각각 열어 임시국회 대책을 나름대로 정리했다. ▼ 신한국당 ▼ 이날 의원총회에서 의원들은 한목소리로 한보사태에 대한 정부측의 미온적인 대응을 강도 높게 질타했다. 한보사태와 관련, 韓昇洙(한승수)경제부총리와 安광구 통상산업부장관의 보고에 이어 1시간여동안 진행된 비공개토론에서 그동안 침묵을 지켜온 민정계중진들이 대거 발언에 나서 정부측을 공격했다. 梁正圭(양정규)의원은 한보사태와 관련, 『이 문제는 국가흥망과 관계되는 일인데도 정부당국자중 단 한사람도 잘못을 시인하는 사람이 없어 실망스럽다』고 포문을 열었다. 金重緯(김중위)의원은 『몇사람이 전화했다고 해서 5천억원이 나갈 수 있느냐』며 『정부는 육하원칙에 입각해 대출책임자를 가려 (외압)실체를 밝혀낸뒤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촉구. 의원들의 질책에 한부총리는 『경제부총리로서 책임을 통감한다』며 『후속대책을 추진중』이라고 군색하게 답변. 한편 金容甲(김용갑)의원은 북한 黃長燁(황장엽)비서 망명신청과 李韓永(이한영)씨 피습사건 등과 관련, 안보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시하면서 강력한 대공태세확립을 강조. ▼ 야권 ▼ 국민회의는 이날 1주일만에 당무에 복귀한 金大中(김대중)총재가 참석한 가운데 趙世衡(조세형)총재권한대행 주재로 간부회의를 열어 임시국회 현안에 대한 당의 입장을 최종 정리. 김총재는 회의시작전 조대행과 1시간 가량 따로 만나 임시국회 대책과 최근 정세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개진했을 뿐 회의에서는 발언을 자제. 국민회의는 이날 한보사건과 관련, △대통령의 측근과 아들 △청와대 비서실과 관계(官界) △일부 대선주자 등 「3대 몸체」에 대한 수사를 통해서만 한보게이트의 진상을 밝혀낼 수 있다며 특별검사제 도입 및 한보사건 전면재수사를 촉구하기로 결의. 국민회의는 특히 한보사건 국정조사에서 청문회 TV생중계와 金泳三(김영삼)대통령의 차남 賢哲(현철)씨의 청문회 증인채택을 관철한다는 입장을 재확인. 한편 자민련은 이날 金鍾泌(김종필)총재 등 당지도부가 수원장안지구당 개편대회에 참석하는 바람에 국회대책 논의는 없었다. 金復東(김복동)수석부총재 주재로 열린 간부회의에서도 수원장안구 보궐선거대책만 논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