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부 “北의 러 추가 파병에 깊은 우려…유엔 대북제재 위반”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6월 18일 08시 01분


코멘트
북한  군인건설자 모습 (평양 노동신문=뉴스1)
북한 군인건설자 모습 (평양 노동신문=뉴스1)
미국 국무부가 북한의 러시아 추가 파병을 두고 “심히 우려스럽다”고 했다. 북한이 러시아에 공병 1000명과 군사 건설 인력 5000명 총 6000명을 추가로 파병하기로 알려진 데 대해 입장을 밝힌 것이다.

미 국무부는 17일(현지 시간) 북한군 추가 파병에 대한 질의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맞서는 군사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북한 노동자와 병력을 계속 활용하는 것은 심히 우려스럽다”며 “북한 정권은 이에 상응해 절실히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러시아에 노동력과 병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미 국무부는 “북한 노동자들은 불법적인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재정적으로 지원한다”며 “이들은 러시아 등 해외에 근거를 두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2397호를 위반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고 했다.

2017년 12월 채택된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2397호는 해외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을 24개월 내 모두 송환하도록 규정했다. 하지만 러시아는 이를 회피하며 북한 노동자를 이후에도 계속 활용해 왔다는 게 미 국무부의 지적이다.

북한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4일 방북한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를 접견했다고 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5일 보도했다. 이날 만남에서는 “우크라이나 사태를 둘러싼 정세발전과 국제 및 지역 정세에 관한 양국지도부의 견해와 의견들이 교환됐으며 완전일치한 입장을 확인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북한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4일 방북한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를 접견했다고 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5일 보도했다. 이날 만남에서는 “우크라이나 사태를 둘러싼 정세발전과 국제 및 지역 정세에 관한 양국지도부의 견해와 의견들이 교환됐으며 완전일치한 입장을 확인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앞서 러시아 인테르팍스통신은 북한의 3차 파병 규모가 공병 1000명과 군사 건설 인력 5000명 총 6000명이라고 전했다. 북한은 작년 10월 쿠르스크 지역에 약 1만2000명에 달하는 전투 병력을 파병한 데 이어 올 초 3000명가량의 병력을 추가로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추가 파병 보도는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의 평양 방문 이후에 나왔다. 인테르팍스통신은 17일 “쇼이구 서기가 평양에서 열린 회담에서 북한의 공병과 건설 인력을 러시아에 파견해 쿠르스크 지역 복구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에 합의했다”고 전했다. 쇼이구 서기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특별 지시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