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 주민 이주’ 거부서 한발 물러서
압둘라 2세 “전면 이주엔 반대
이집트 계획 지켜볼 것” 진땀
트럼프, 요르단 국왕 면전서 “중동 국가들, 가자 주민 받아들여야”
11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오른쪽)과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이 나란히 앉아 있다. 이날 압둘라 2세 국왕은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내 팔레스타인 주민 이주 구상과 관련해 “아랍 국가들의 계획이 있다”면서도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아픈 가자지구의 아이 2000명을 요르단으로 데려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매우 아름답다”고 화답했다. 워싱턴=AP 뉴시스
1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동의 대표적인 친미 국가인 요르단의 압둘라 2세 국왕을 만나 “주변국이 가자지구 내 팔레스타인 주민을 수용하라”고 압박했다. 그동안 트럼프의 가자지구 구상에 반발하던 요르단은 팔레스타인 어린이 2000명을 수용하겠다며 한발 물러섰다. 압둘라 2세 국왕은 트럼프의 압박에 분명한 답변을 하지 않으며 “이집트의 계획을 먼저 지켜보겠다”면서 떠넘기는 모습도 보였다. 이집트는 가자지구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또 요르단처럼 가자지구 출신 팔레스타인인들의 수용 압박을 받아 왔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은 이날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트럼프와의 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 “우리가 지금 바로 할 수 있는 일은 암에 걸리거나 매우 아픈 가자지구의 아이 2000명을 요르단으로 데려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집트와 아랍 국가들이 계획이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며 “이집트가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에 어떤 계획을 내놓고 협력할지 지켜보겠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요르단의 팔레스타인 어린이 일부 수용 방침에 대해 “매우 아름다운 제스처”라고 화답했다. 이어 “나머지는 이집트와 함께 협력할 예정이고 여러분들은 위대한 진전을 보게 될 것”이라고 했다.
4일 트럼프 대통령이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정상회담을 한 후 “가자지구 내 팔레스타인 주민을 주변국으로 이주시키겠다”고 밝히자 요르단은 이에 반발했다. 자국민 중 이미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팔레스타인계 주민을 추가로 받아들이면 정치적 혼란이 커지고, 치안도 불안해질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요르단은 인구 1100만 명 중 최대 절반가량이 팔레스타인계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 경제 사정이 어려워 추가적인 팔레스타인 주민 수용은 심각한 내부 반발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그럼에도 이날 요르단 국왕이 유화적 태도를 보인 건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를 외면하면 미국의 원조가 끊길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요르단은 2022년 10월∼2023년 9월 미국으로부터 17억 달러(약 2조5000억 원)를 지원받았다.
다만, 압둘라 2세 국왕은 전면적인 팔레스타인 주민 수용에는 선을 그었다. 그는 회담 후 자신의 X에 “트럼프 대통령에게 가자지구와 서안지구 팔레스타인 주민의 이주에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또 이것이 아랍의 공통된 입장”이라고 썼다.
한편 가자지구엔 다시 전운이 감돌고 있다. 네타냐후 총리는 이날 총리실 영상 성명을 통해 “(하마스가) 토요일(15일) 정오까지 인질을 석방하지 않는다면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패배할 때까지 전투를 재개하겠다”는 최후 통첩을 전달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지난달 15일 15개월에 걸친 가자전쟁을 멈추고, 양측 인질 석방 등을 조건으로 ‘6주간 휴전’(지난달 19일 발효)에 합의했다. 그러나 하마스는 10일 이스라엘이 일부 구호품 전달을 차단하고, 가자 주민 귀환을 막는 등 합의를 깼다는 이유로 인질 석방을 보류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소유 및 개발과 주민 영구 이전 발언도 하마스를 자극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