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오쩌둥처럼 종신집권 노리는 시진핑… “7월 1일 대관식 될것”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6월 29일 03시 00분


코멘트

[중국 공산당 100년]
1 마오쩌둥 시대
2 덩샤오핑 시대
3 시진핑 시대

중국 공산당 창당 100년을 꼭 한 달 앞둔 이달 1일 중국 티베트자치구 라싸의 포탈라궁 광장에서 시민들이 중국 전현직 
최고지도자 5명의 사진과 오성홍기가 그려진 대형 벽화를 쳐다보고 있다.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마오쩌둥, 덩샤오핑, 후진타오, 
시진핑, 장쩌민. 라싸=AP 뉴시스
중국 공산당 창당 100년을 꼭 한 달 앞둔 이달 1일 중국 티베트자치구 라싸의 포탈라궁 광장에서 시민들이 중국 전현직 최고지도자 5명의 사진과 오성홍기가 그려진 대형 벽화를 쳐다보고 있다.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마오쩌둥, 덩샤오핑, 후진타오, 시진핑, 장쩌민. 라싸=AP 뉴시스
《중국 공산당이 다음 달 1일 창당 100년을 맞는다. 1921년 상하이에서 대표 13명과 당원 50여 명으로 출발했지만 현재 당원 9200만 명을 보유한 공룡 정당으로 거듭나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72년째 중국을 통치하고 있다. 2012년부터 집권 중인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은 개혁개방 및 집단통치를 중시했던 덩샤오핑(鄧小平)과 달리 27년간 장기집권한 마오쩌둥(毛澤東)의 ‘1인 통치’를 노골적으로 추종한다. 그 과정에서 반대 세력을 탄압하고 중국 우월주의를 과도하게 강조해 국제정세 불안정을 초래했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중국 공산당이 다음 달 1일 창당 100주년 기념일을 맞는다. 설립 초기 국민당과의 내전으로 소멸 위기를 겪었고 1989년 톈안먼 민주화시위 등에 따른 개혁 요구도 거셌지만 고도 경제 성장 등을 앞세워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설립 후 73년째 집권당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2012년 말부터 집권 중인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은 당초 공산당 체제를 위협할 것으로 여겨졌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미중 갈등을 오히려 중국식 사회주의의 우수성을 선전하는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후진타오(胡錦濤) 전 주석이 2011년 공산당 90주년 기념일 당시 경제 성과를 홍보하고 내부 결속을 다지는 데 주력했던 것과 달리 시 주석은 다음 달 1일 국제사회에서 차지하는 중국과 공산당의 역할을 강조하고 미국을 넘어선 패권국이 되겠다는 뜻을 드러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 마오 지워낸 덩, 덩을 지워낸 시


공산당 100년은 크게 세 지도자의 시대로 나뉜다. 1단계는 마오쩌둥(毛澤東·1949∼1976년 집권), 2단계는 덩샤오핑(鄧小平·1978∼1992년 집권)과 그 영향을 받은 장쩌민(江澤民) 후진타오 전 주석 시대, 3단계가 시 주석 시대다.

27년간 종신 집권한 마오쩌둥은 중국 현대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지도자지만 공과 논란 또한 상당하다. 무엇보다 대약진운동과 문화대혁명 등의 급진 정책이 끼친 피해가 상당하다. 서방보다 인프라가 낙후된 중국의 현실을 도외시한 채 농촌 위주 경제 성장을 무리하게 추진했던 대약진운동의 실패로 굶어 죽은 사람만 최대 4000만 명이다. 낡은 사상과 문화를 타파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지만 실상은 덩 등 개혁파와의 권력투쟁 성격이 강했던 1966∼1976년 문화대혁명 때에는 360만 명이 박해를 받고 최대 150만 명이 숨졌다.


마오의 사후 집권한 덩은 1인 독재의 폐해를 절감하고 집단지도체제를 구성했다. 국가주석의 3연임을 막는 조항도 만들었다. 덩의 집권기에 국정의 주요 사안은 7명으로 구성된 상무위원회에서 토론으로 결정됐다. 덩의 후임자인 장쩌민, 그 뒤를 이은 후진타오 모두 공산당 총서기라는 타이틀은 가졌지만 상무위원 7명 중 한 명에 불과했다. 나머지 6명의 상무위원 또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각자 맡은 분야를 통치했다. 당시 “중국은 7인의 대통령이 통치한다”는 말이 나왔던 이유다.

시 주석은 집권 내내 덩이 수립한 대내외 원칙을 모조리 지워내고 있다. 가장 먼저 사라진 것이 권력 분점이다. 장쩌민과 후진타오 집권 시절 경제는 각각 주룽지(朱鎔基)와 원자바오(溫家寶) 당시 총리가 맡아 사실상 전권을 휘둘렀다. 반면 시 주석은 심복 류허(劉鶴) 부총리 등을 앞세워 한때 자신과 국가주석직을 두고 경쟁했던 리커창(李克强) 총리의 영향력을 속속 차단하고 있다. 현재 미중 무역협상, 반도체 정책 수립 등 주요 경제 현안은 모두 리 총리가 아닌 류 부총리가 관장하고 있다. 시 주석은 2018년 국가주석 3연임 금지 조항도 헌법에서 삭제했다. 로언 캘릭 호주 그리피스대 아시아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다음 달 1일은 시 주석의 대관식이 될 것”이라며 중국 공산당에서 경쟁과 균형은 사라지고 시진핑 1인 체제만 남았다고 진단했다.

덩의 외교 원칙 또한 온데간데없다. 시 주석은 덩이 제시한 ‘도광양회(韜光養晦·때를 기다리면서 힘을 기른다)’ 대신 집권 내내 미국 등 서방과 대립하며 ‘전랑(戰狼) 외교’에 치중하고 있다. ‘늑대 전사’란 말 뜻대로 중국의 힘을 앞세워 다른 나라를 포섭한다는 의미다. 중국이 저개발국에 차관을 빌려준 후 중국 기업이 해당국의 철도 항만 통신 등 인프라 공사를 수주해 그 돈을 회수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 사업 또한 사실상 저개발국을 중국의 경제식민지로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서방에 ‘방어’ 대신 ‘선제공격’…홍콩 접수하고 대만 노려


다음 달 1일은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이 시행된 지 꼭 1주년이 되는 날이다. 덩은 1980년대 홍콩 반환을 주저하는 마거릿 대처 당시 영국 총리에게 “향후 50년간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를 보장하겠다”며 고도의 자치를 약속했다. 하지만 시 주석은 2014년 홍콩 민주화시위 ‘우산혁명’ 등 각종 반중 시위를 잔혹하게 탄압했다. 지난해 홍콩보안법까지 통과시켜 중국에 반하는 행동을 한 홍콩인을 최대 무기징역에 처할 수 있도록 했다.

시 주석 이전의 중국 지도자 역시 홍콩, 신장위구르, 티베트 등을 탄압했지만 서방이 이를 문제 삼으면 “내정 간섭을 중단하라”며 ‘방어’에 치중했다. 반면 시 주석 치하의 중국은 “노예제 역사가 있고, 인종차별 규탄 시위가 벌어지며, 대선에서 패한 대통령 지지자가 의회에 난입하는 미국이 중국에 인권을 가르칠 자격이 있느냐”며 ‘선제공격’에 나서고 있다. 중국에서는 지금도 지난해 5월 백인 경관의 잔혹 행위로 숨진 미국 비무장 흑인 조지 플로이드의 사망 동영상, 올해 1월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 대통령 지지자의 의회 난입 동영상이 자주 뉴스에 오른다.

중국 내에서는 사실상 종신 집권을 노리는 시 주석이 내년 10월 공산당 20차 전당대회에서 ‘건국 100주년인 2049년 이전에 반드시 대만 흡수통일을 이루겠다’는 뜻을 내비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홍콩을 사실상 장악한 중국에 마지막 남은 숙제는 대만밖에 없기 때문이다.

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


#중국 공산당 100년#마오쩌둥#시진핑#종신집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