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억 초과도 15.7%→17.2%로 늘어… 대출금리 영향 6억~9억 비중 줄어
중저가 단지 매물 쌓이고 하락 거래… 재건축 아파트선 신고가 ‘양극화’
전문가 “거래 가뭄 속 양극화 지속”

#2. 서울 금천구 700여 채 규모의 B단지 전용 59m²는 지난달 14일 6억 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12월 최고가인 6억2000만 원에 팔렸지만 5개월여 만에 2000만 원 떨어졌다. 인근 공인중개업소는 “올해 초 호가가 6억 원을 넘었지만 팔리지 않자 보금자리론이 가능한 6억 원 이하로 떨어지고 있다”면서 “매수세가 줄어 매물이 쌓이고 있다”며 한숨을 쉬었다.
올 상반기(1∼6월)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은 거래절벽이 심화된 가운데 양극화도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 등으로 거래가 급감한 가운데 중저가 단지에서는 매물이 쌓이고 하락 거래가 나왔다. 반면 대출 금지로 대출 규제 영향이 없는 재건축 및 신축 초고가 아파트는 최고가 거래가 1∼2건씩 이어졌다.
대출 금리의 영향을 받는 6억 원 초과 9억 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도 지난해 상반기 27.9%(7355건)에서 올해 21.4%(1599건)로 줄었다. 같은 기간 9억 원 초과 15억 원 이하 비중도 26%에서 23.8%로 감소했다. 서울 강서구의 한 단지 내 공인중개업소는 “지난주 아파트값 문의 전화를 딱 1통 받았다”며 “매수 문의가 뚝 끊겼다”고 했다.
다만 대출이 안 되는 15억 원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은 상반기 17.2%(1288건)로 전년 동기(15.7%·4134건) 대비 상승했다. 거래절벽으로 거래 건수가 줄었지만 비중은 높아졌다. 서초구 반포동 입주 39년 차 C아파트 전용 82m²는 이달 6일 역대 최고가인 26억5000만 원에 팔렸다. 인근 공인중개업소는 “한강뷰가 가능한 강남권 아파트 수요가 꾸준하다”며 “대출 규제 영향이 없어 금리 인상 영향도 크지 않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거래 가뭄과 양극화가 지속될 것으로 본다. 송인호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 소장은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국내 금리 인상 압력이 커지고 있고, 대출 규제도 있어 매수세가 쉽게 살아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하반기 전체로는 약보합이겠지만 대출 규제 영향이 없는 일부 초고가 단지는 최고가 행진이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최동수 기자 firefl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