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대’ 물가 상승…韓, 커지는 디플레이션 우려

  • 뉴시스
  • 입력 2019년 4월 2일 16시 11분


코멘트

3월 소비자물가 0.4% 상승…3개월 연속 0%대
OECD 근원물가 1% 미만 올라…18년 8개월만
한은 물가안정목표치 '2%' 대비 저조한 상황
"가동률·고용 총수요 부진한 사실 부인 어려워"

올 3월 소비자물가가 0.4%대 오르는 데 그쳤다. 올 1월부터 3개월 연속 0%대를 이어가 ‘디플레이션(Deflation·지속적인 물가 하락)’ 우려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 자료를 보면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49(2015=100)를 기록했다. 전년보다 0.4% 상승했다. 올 1월 0%대 상승률을 기록한 뒤 석 달째 이를 유지하고 있다. 2016년 5월부터 8월까지도 0%대 상승률이 4개월간 지속된 바 있다. 지난해 하반기만 해도 7월 1.1%, 9월 2.1% 등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2%를 오르내렸다. 3월 상승률인 0.4%는 2016년 7월(0.4%)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측정 범위를 1분기로 넓혀봐도 상승률이 저조하기는 마찬가지다. 이 기간 물가 상승률은 0.5%다. 통계청이 분기별 통계를 제공하기 시작한 1965년 이래로 가장 낮은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년보다 0.8% 상승하는 데 그쳤다. 이 지표가 1% 미만으로 상승한 것은 2000년 8월 이후 18년 8개월 만이다.

‘물가가 내려가면 좋지 않느냐’는 의문이 들 수 있지만 저물가는 경제를 위협하는 주요인 중 하나다. 물가는 총수요와 총공급이 만나 정해진다. 물가가 내려간다는 것은 한 쪽 혹은 양쪽에 이상이 생겼다는 의미다. 경기가 침체 국면에 접어드는 신호일 수 있다. 한국은행이 물가안정목표를 ‘2%’로 정해놓고 예의주시하는 이유다.

물가가 내려가면 실질 금리가 올라 가계가 느끼는 부채 부담은 커진다. 여력이 줄어든 가계는 소비를 줄인다. 내수가 나빠지면 기업 투자와 고용은 감소한다. 물가 하락이 가계 경제 악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이다. 거품 경제가 붕괴됐던 2000년대 일본에서 소비자물가가 계속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실제로 총수요 관련 각종 경제 지표는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올 2월 소매판매는 전년보다 2.0% 감소했다. 소비 총지수가 전년 비 감소를 나타낸 것은 2017년 10월(-0.4%) 이후 16개월 만이다. 공장가동률은 2.1%포인트(P) 하락한 71.2%에 그쳤고 30~39세, 40~49세 취업자는 각각 11.5%, 12.8% 감소했다.

김영준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금융시장팀 연구위원은 “최근 소비자물가가 저조한 상황은 국제유가 하락 영향이 커 디플레이션을 논하기에는 일러 보인다”면서도 “공장가동률과 고용 등 수요가 물가를 견인할 만한 상황도 아니다. 총수요가 부진하다는 사실을 부인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한은도 한국의 저물가 상황에 주목하고 있다. 2월28일 열린 2019년도 제4차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을 보면 일부 위원은 “1월 발표한 올해 물가전망치에 하방 위험이 있어 보인다”는 의견을 내놨다.

2012년 이후 실제 물가가 목표치를 계속 밑돌고 있음을 고려하면 향후 물가 상승률이 더 낮아질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는 얘기다. “이런 흐름을 반전시킬 동력을 찾기 쉽지 않아 보인다”는 언급도 나왔다.

이와 관련해 기획재정부는 ‘일시적인 요인에 의해 물가가 낮아졌다’는 입장이다.

김동곤 기재부 물가정책과장은 “총수요 부족이나 디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났다기보다는 국제유가 하락이나 유류세 인하 등 일시적·정책적인 요인에 의해 물가가 내려갔다고 파악하고 있다”면서 “물가 안정 기조를 정착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세종=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