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임금 1년반만에 감소

  • 동아일보

코멘트
3
임금 인상이 물가 상승을 따라잡지 못하면서 1분기 실질임금(물가상승 효과를 제거한 임금가치)이 1년 전에 비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임금이 감소한 것은 2009년 3분기 이후 1년 6개월 만이다.

5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1분기 실질임금은 236만4074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의 246만4718원보다 4.1% 감소했다. 전년 동기 대비 실질임금 증감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은 2009년 3분기 -0.5% 이후 처음이다.

실질임금이 감소한 것은 1분기 물가가 4.5%의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 반면 월급명세서에 찍히는 명목임금은 0.2% 오르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실질임금은 2009년 3분기에 0.5% 감소한 뒤 작년 1분기엔 4.2%, 2분기 3.5%, 3분기 5.9%, 4분기 1.5%로 증가세를 유지해 왔었다.

5월과 6월 물가상승률이 각각 4.1%, 4.4%로 여전히 높고 하반기에도 공공요금 및 개인서비스 요금 인상 등 물가 상승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보여 당분간 실질임금은 마이너스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지갑이 더 얇아진 서민 가계가 오락이나 취미, 여행 등 여가활동 관련 소비를 크게 줄일 것으로 전망된다.

김재영 기자 redfoo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3

추천 많은 댓글

  • 2011-07-06 09:09:55

    1.최저임금이 결정되지 않고 있다. 약 200만 명이 해당 된다. 이들은 가정경제를 책임지고 있는 취약 계층이다. 경총에의하면 중소기업이 연 680억을 더 부담해야 한다고 한다. 그러나 대기업- 중소기업 먹이사슬만 차단하면 해결된다. 지난 3년간 재벌 대기업의 2세, 3세 계열사만 780개사로 늘어 일감몰아주기 등으로 변칙상속이 자행되고 그 금액이 10조원이라고 한다. 또한 중소기업의 영역인 MRO (소모성 물품과 서비스)도 싹쓸이하고 있다. 이기간 동안중소기업의 접대비가 대기업의 8배로 증가했다고 한다. 납품단가를 착취한 것이다.

  • 2011-07-06 09:09:06

    2.미국과 독일은 하도급 피해 개선을 위해 중소기업 카르텔을 허용한다. 피해 도급 중소기업을 위해 공정위뿐 아니라 중소기업 업종별 연합회도 검찰에 고소권을 주어야한다. 대기업의 불공정거래에 대한 검찰의 처벌이 11건이라고 한다. 유럽 경찰은 Sweatshop(싼 임금으로 장시간 노동시키는 노동자 착취 업소, 공장) 는 일반범죄보다 강력하게 다룬다.

  • 2011-07-06 03:37:42

    월급10% 전국민 인상하자. 상생이니 초과이익공유니 말장난만 하지 말고 그냥 월급을 작년보다 10% 올려라. 월급만 오르면 자영업자들 장사잘되고 은행에 저축많아지고 집많이 사고, 결혼해서 얘들도 놓는다.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