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공정거래법 헌법소원 왜 냈나

  • 입력 2005년 7월 1일 03시 11분


코멘트
삼성그룹 3개 계열사가 공정거래법 일부 조항에 대해 헌법소원을 제기함에 따라 대기업 정책의 적법성 여부가 다시 도마에 올랐다.

소송 당사자인 삼성생명, 삼성화재, 삼성물산은 공정거래법이 자산총액 2조 원 이상 그룹에 속한 금융계열사의 의결권을 제한해 적대적 인수합병(M&A)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공정거래위원회는 경제력 집중을 억제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고 맞받아쳐 치열한 법리 공방이 예상된다.

공정거래법은 작년 말 개정될 때도 여야가 위헌 논쟁을 벌였다.

○삼성 “외국계자본과 형평 안맞아”

삼성이 헌법소원이라는 수단까지 동원한 이유는 그룹 대표기업인 삼성전자에 대한 안정적인 지배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작년 말 현재 삼성생명(7.99%) 삼성화재(1.39%) 삼성물산(4.43%) 등 삼성 계열사와 이건희(李健熙) 회장 일가가 갖고 있는 삼성전자 지분은 모두 합해 17.72%. 반면 외국계 지분은 54.13%다.

2008년 4월부터 삼성전자에 대한 금융계열사의 의결권이 15%로 축소되면 적대적 M&A에 대응할 수 없다는 게 삼성 측 논리다.

외국계 자본은 의결권 제한을 받지 않는다는 점도 평등권에 위배된다고 주장한다.

삼성 측 소송 대리인인 율경법률사무소 황도수(黃道洙) 변호사는 “금융계열사는 고객 돈 이외에 자기자본도 갖고 있는데 의결권을 제한하는 것은 위헌”이라고 말했다.

삼성이 의결권 행사 제한에서 벗어나려면 비(非)금융계열사의 지분을 늘려야 하지만 삼성전자 주식 10%를 사려면 약 7조2000억 원이 든다. 삼성 비금융계열사의 출자여력은 약 2조 원(삼성전자 제외)이다.

○공정위 “M&A노출 주장은 엄살”

공정위가 작년 말 공정거래법을 개정한 취지는 그룹 금융계열사가 고객 돈으로 다른 계열사의 주식을 사서 대주주의 지배력을 뒷받침해서는 안 된다는 것.

공정위는 삼성의 재산권 침해 주장에 대해 “헌법에도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는 재산권 등 기본권을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119조 2항)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삼성전자가 적대적 M&A에 노출된다는 주장도 ‘엄살’이라고 일축했다. 의결권 제한과 상관없이 삼성 계열사에 대한 적대적 M&A 시도는 한번도 없었다는 것.

공정위 이석준(李錫準) 기업집단과장은 “삼성전자 경영진을 교체하려면 주주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필요한데 외국인들이 한 목소리를 내기가 쉽지 않다”며 “외국도 산업자본과 금융자본을 엄격히 분리한다”고 말했다.

○헌법재판소는 누구 편에

금융계열사의 의결권 제한은 자산 2조 원 이상인 55개 그룹에 적용된다. 그런대도 유독 삼성이 반발하는 이유는 지배구조와 관련돼 있기 때문. 삼성그룹은 ‘삼성카드→삼성에버랜드→삼성생명→삼성전자→삼성카드’(대주주 기준)로 이어지는 순환출자 구조를 갖고 있다. 삼성생명의 의결권을 제한하면 지배구조 전체가 흔들린다.

반면 LG그룹은 지주회사 체제여서 지배구조가 안정적이고 현대자동차그룹은 금융계열사 비중이 적다.

이 때문에 공정거래법이 사실상 삼성을 겨냥한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논란이 된 법조항▼

삼성그룹이 위헌 요소가 있다고 보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조항은 제11조 및 제66조로 지난해 말 개정됐다.

제11조는 자산총액 2조 원 이상인 기업집단(그룹)의 금융회사 또는 보험회사는 보유하고 있는 다른 국내 계열사 주식에 대해 원칙적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몇 가지 예외를 둬 △임원의 선임 또는 해임 △정관 변경 △합병 및 양도 등 적대적 인수합병(M&A)에 맞서 경영권을 방어해야 할 때는 총수나 다른 비(非)금융 계열사의 지분을 합쳐 15%까지만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했다.

부칙에는 현재 30%인 금융 계열사의 의결권 행사한도를 내년 4월 1일부터 매년 5%씩 3년간 줄인다는 경과규정을 뒀다. 따라서 2008년 4월 1일 이후에는 15%까지만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주력 계열사에 대한 지분이 금융 계열사 15%, 총수 및 비금융 계열사 25% 등 모두 40%라고 할 때 지금은 30%를 초과하는 금융 계열사 지분 10%만 의결권 행사가 제약되지만 앞으로는 금융 계열사 지분 15%가 모두 무용지물이 된다.

다만 총수나 비금융 계열사의 지분은 15%가 넘더라도 의결권이 인정된다. 제66조는 이 같은 규제를 어기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억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했다.

고기정 기자 koh@donga.com

김창원 기자 changkim@donga.com

정경준 기자 news91@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