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LA가 FBI에 의해 무력 진압된 후, 도주한 지 1년 4개월 만에 체포돼 무장강도와 테러리즘 혐의로 법정에 선 퍼트리샤는 충격적인 발언으로 미국을 혼란에 빠뜨린다. “모든 일은 SLA에 세뇌되어 한 행동이기 때문에” 자신은 무죄라는 것. 퍼트리샤의 사례는 인질이 세뇌 또는 생존본능에 의해 인질범 또는 공격자에게 동조하는 증세나 현상을 일컫는 ‘스톡홀름 증후군’의 대표적인 사례로 회자된다.
이 소설은 퍼트리샤의 전향이 SLA에 의한 세뇌인지 자유의지의 결과물인지에 대한 저자의 궁금증에서 시작됐다. 저자는 퍼트리샤의 범죄 행위가 SLA에 의해 세뇌당한 결과물이라며 무죄를 주장하는 변호인단에 고용돼 그들의 논리를 뒷받침할 보고서를 만드는 미국 교수 진 네베바와 프랑스인 비올렌을 가상인물로 세웠다. 퍼트리샤가 남긴 음성 메시지와 사진, 당시 언론 보도 등을 종합해 두 사람은 퍼트리샤의 변화 뒤에 숨은 힘을 추적한다.
네베바와 비올렌이 퍼트리샤 허스트 납치 사건의 전모를 전복적으로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여성이 돌봄의 주체나 유순한 자녀가 아닌, 자기 자신으로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존재임을 강조하는 저자의 메시지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김재희 기자 jetti@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
‘메이드 인 코리아’ 무기로 中 ‘해상민병’ 격퇴 나선 필리핀
홍준표 “권력 영원하지 않아…文, MB·朴 사면하라”
“강원도에 차이나타운 반대” 청원 57만명 돌파
백신 50일 접종률 2.65%… 출구 안보이는 ‘백신 터널’
‘공수처 산파’ 이찬희 “신생아 공수처가 檢상위기관 행세 문제”
이인호 “한미, 北인권 인식차 못좁히면 관계 악화될것”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