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말 초상화, X선 투과해보니 17세기 淸복식이…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3월 24일 03시 00분


코멘트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 특별전’… 문화재 감정 역할과 기능 일깨워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전(傳) 정곤수 초상’(위 사진). X선 투과 조사 결과 청나라 복식이 그려진 밑그림이 드러났다(아래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전(傳) 정곤수 초상’(위 사진). X선 투과 조사 결과 청나라 복식이 그려진 밑그림이 드러났다(아래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조선시대 관복을 입은 대신(大臣)을 그린 ‘전(傳) 정곤수 초상’. 임진왜란 때 명나라 사신으로 파견된 정곤수를 16세기 말 그린 것으로 한때 알려졌다. 하지만 2008년 X선 투과조사에서 흥미로운 사실이 드러났다.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또 하나의 밑그림 속에 청나라 복식이 발견된 것. 결국 초상화는 청나라가 건립된 1616년 이후 제작된 것으로 결론이 났다.

문화재에 대한 진위 감정과 제작 배경 규명에서 보존과학의 역할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최근 증도가자 논란에서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3차원(3D) 금속 컴퓨터단층촬영(CT)을 통해 결정적인 위조 증거를 발견하기도 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보존과학부 창설 40주년을 맞아 ‘보존과학, 우리 문화재를 지키다’ 특별전을 열고 있다.

박물관의 보존처리를 거친 국보 제91호 기마인물형토기(하인상) 등 57점을 선보인다. 프롤로그에서는 감은사지 석탑 사리외함(보물 제366호) 등 국가지정 문화재의 복원 과정을 생생히 보여준다. 이어 1부 ‘우리 문화재의 재료와 기술을 보다’에서는 X선, 적외선, 자외선 등 문화재 분석 장비의 활용사례를 전시한다. 2부 ‘병든 문화재를 치료하다’에서는 신라 금관총 출토 ‘이사지왕 대도’ 등 박물관의 대표적인 보존 처리 성과를 망라했다.

특히 전시실 안에 보존처리실을 재현해 보존과학부 직원들이 작업하는 광경을 지켜볼 수 있도록 했다.

에필로그에서는 국가지정문화재의 보존처리 기록을 모아 놓은 아카이브를 살펴볼 수 있다. 5월 8일까지. 02-2077-9428
 
김상운 기자 sukim@donga.com
#국립중앙박물관#정곤수 초상#보존과학 특별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